전기제품 자작할때 접지의 중요성, 각궁곤로 diy
< 전기누전사고와 접지의 중요성 >
전기에 별 신경을 안쓰고 살아왔는데
요즘 안전관련 이슈가 워낙 중요하게 떠오르고 해서 관심을 가지고 보게 되는 내용입니다.
(사실은 새벽에 잠이 깨서 유튜브 보다가... 저도 나이가 들었나 봅니다.)
위에 사진은 접지가 없는 콘센트와 플러그
아래 사진은 접지가 있는 콘센트와 플러그 입니다.
접지부분은
콘센트는 구멍두개말고 옆측면 부분.
플러그는 젓가락 두개말고 옆구리 부분. 두곳입니다.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플러그 형태를 통해서도 접지가 되는건지 안되는것인지도 확인 가능합니다.
만약에 자그마하게 전기제품(전기곤로, 각궁점화장) 만들게되거나 자작으로 만들어진 제품을 사용할때도 접지가 있는지 없는지 체크하셔야 합니다.
어제는 전기곤로에 접지선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접지선을 본체에 직결피스로 연결했습니다.
테스트기로 찍어보니 접지 잘 작동합니다.
접지가 잘동하는지는 테스트하는 방법은 저항측정 혹은 전기흐르면 삑~ 소리나는 부분에 놓고
플러그에 접지부분 그리고 제품의 쇠붙이 부분을 찍었을때 삑~ 해야됩니다.
이게 안되면 접지가 안되고 있는 것입니다.
소형전자제품중에는 플라스틱으로 감싸져 있는 경우 접지플러그가 아니라도 된다는 규정도 있다는데
제품내부라든지 이런곳에 쇠붙이가 있을때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젖병소독기 같은 것들이 그렇습니다.
만에 하나 일어날지도 모를 감전사고를 예방하는 길은 접지체크 입니다.
콘센트와 플러그를 자작해서 연장선 만들때도 접지가 되는 것으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갑자기 새벽에 잠이 깨서 전기공부를 유튜브로 좀 해봤습니다.
강사님이 아주 알아듣기 쉽게 설명을 해줍니다.
여태 직류와 교류의 차이도 모르고 살았네요.
중학교 기술시간에 잘 들어둘걸.
https://youtu.be/ZPhcRxMbkc0
https://youtu.be/fCWgR9wXS1U
https://youtu.be/aNl4IWUh6gU
https://youtu.be/grxizzlfM6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