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하시기 전에 아래 글을 꼭 읽어주세요.
- 질문의 법칙
- 질문하시기 전에 이전문답글, 조행기&정보 등을 검색해주세요.
- 질문하신 분은 꼭 답변 채택을 하셔야 질문시 걸었던 포인트의 절반을 되돌려 받습니다.
- 답변을 채택되면 더이상의 추가답변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문답게시판은 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 모바일모드에서는 정상작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스피너 베이트, 버즈 베이트 , 바이브 레이션 운용 질문입니다.

루어&태클 김효진(yojis) 2010.10.25 11:54

안녕하세요..

 

제가 매일 노싱커와 탑워터만 해보다가

 

그다음 버징 해보고.. 이제 본격적으로 하드베이트를 사용 해 보려고

 

얼마전 스피너 베이트 , 버즈 베이트, 바이브 레이션, 크랭크 베이트, 이렇게 사서

 

낚시를 해 보았습니다. 낚시대와 릴은 아직 3만원 짜리 은성 ML 로드에 이름 없는 스피닝 릴 사용 중이구요..

 

스피너와 버즈를 다 써봤는데 스피너는 열심히 감는데 블레이드가  안돌고 질질 끌려오구요..

 

버즈 베이트는 탑워터 루어라고 알고 있는데

 

자꾸 가라 앉구요.. 바이브는 그냥 감기만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런 류의 하드베이트를 쓰려면 스피닝 릴로는 역부족 인가요?.,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견 (0)

질문자 선택 답변 보기 답변등록

현재 답변들 5
질문자로부터 선택받은 답변입니다

루어는 무게가 정해져 있습니다. 1/8, 1/4, 3/8, 1/2, 1온스 등등..

그 무게는 사용중인 로드에 적합한지, 또한 낚시를 하는 필드의 수심에 적합한지를 따지게 됩니다.

ML로드라면 보통은 1/8온스 무게의 루어가 적합하며, 강계에서 사용하고자 하실 때는 수심이 대충 30-1미터 권에서 사용해야 함으로 그 보다 가벼운게 오히려 운용하기가 수월하실 겁니다.

스피너베이트의 블레이드가 돌지 않는다면 처음에 가라앉은 상태에서 대를 툭툭치면서 빠르게 릴링을 하다가, 블레이드의 회전 느낌이 손에 전해지면 일정 수심을 유영하도록 감으시면 될 겁니다. 무겁다면 릴링 속도를 못내어서 돌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버즈베이트가 가라앉는다는 것은 릴링하는 것보다 루어가 무겁다는 겁니다. 또한 카본라이을 사용하신다면 비중이 높아서 라인만으로도 많이 가라앉게 됩니다. 팝워터루어, 크랭크에는 모노라인이 좋습니다.

구입해서 사용해보신 루어의 무게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참고가 되시길... emoticon

보면서 설명해 드리면 좋을 것 같은데... 말로 하자니 어려움이 많네요... emoticon

의견 (0)
김효진(yojis) 2010.10.25 12:40

감사합니다. 제가 카본 라인을 사용 중입니다.

 

스나이퍼 인가 그거 좋다고 해서 샀는데 스피닝에 감으니 줄 꼬이고 풀어지고 난리가 났습니다..

 

2만원이나 주고 산건데. 에휴.. 가벼운 걸로 연습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견 (0)
이호영(동방) 2010.10.25 13:17

강물님 설명을 아주 잘 해 주셨네요...

스피닝의 ML 액션엔...스피너베이트 1/8oz(1/16oz면 가능할지도)도 다소 버겁습니다...

아무래도 블래이드의 저항으로 로드가 심하게 꺽입니다...

물론 다른 하드베이트도 마찬가지이구요...

굳이 쓰신다면 부부배스님처럼 미니타입을 권해 드리고 싶네요...미니스피너 베이트.미니 버즈...등....지금까지 써본것 중엔

골선장님 손수 만드신 골드웜표가 아주 좋습니다..emoticon (기성품보다 좋다고 봅니다..워낙 손재주가 좋으신분이라...)

무게가 무거우면 아무래도 릴링에도 무리가 가고 낚시가 힘들겁니다...

크랑크엔 크랑크전용 릴과 로드를 추천하고 싶네요...가벼운 쉘로우 크랑크 정도는 MH로도 가능하지만 딥크랑크를 쓸라하니

로드가 부러질까 겁날 정도로 저항을 많이 받습니다...해서 전용릴과 로드가 있는 것이구요..

하드 베이트 운용은 될수 있음 베이트릴로 운용하심이 좋습니다..스피닝으로 쓰자면 아무래도 호수 커져하 하니...불편하죠..

초보 입문용이라 생각하고 베이트릴에 막줄 달아 연습해 보세요...바람부는 날 바람 등지고 날려보면 백러쉬도 적게 납니다..

베이트는 연습만이 살길입니다..계속 던져보면 금방 감이 올겁니다..베이트를 사용함으로 로드의 선택과 라인,릴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중복투자를 없앨수 있습니다..종류별로 다 가지고 있음 좋겠지만...초보입문용으로는 릴 기어비 6.4:1과 MH를 겸하면

스피너베이트 3/8OZ,버즈베이트3/8OZ,바이브레이션,딥크랑크,버징,기타 하드베이트 운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입문용으론 스피닝 ML,릴 2000번대, 베이트는 위에서 언급한 장비면 되겠구요...

조금이나 보탬이 됐나 모르겠습니다..emoticon

의견 (0)

5-6년 전인가 배스낚시 할 때 저도 은성의 루어셋트를 구입하여 사용했었습니다.

지금은 다양하게 구비를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드 하나가 전천후를 구사할 순 없습니다. 다만, 스피닝 ML, 이나 베이트 M대를 범용성 로드로 선호할 뿐입니다.

라인은 산용GTR 2호 정도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사용해본 모노라인 중에서는 제일로 좋은 듯 합니다. 갠적으로...

 

의견 (0)
박흥준(同行) 2010.10.25 18:01

스피너베이트 : ml파워의 로드라면 루어무게가 보통 1/2온스까지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습니다.(로드에 표기되어 있는것 확인하여
보세요)
1/4온스 스피너베이트에 가벼운 웜을 트레일러로 사용 가능하겠군요.
리트리브하여 스피너베이트를 운영하는데 블레이드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도래를 한 번 의심해 보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 가져봅니다.

버즈베이트 : 위에 분들이 설명하였듯 카본라인의 경우 물보다 라인의 비중이 무거워서 깔아 앉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버즈베이트가
물에 깔아 앉지는 않습니다.
버즈베이트의 경우 캐스팅 후 바로 리트리브하는 사용법이 맞는 방법으로 이렇게 사용하시면 버즈가 깔아 앉았지 않습니다.
참고로 버즈베이트는 캐스팅 후 리트리브하면 직진으로 운영하여 오는 것이 아니라 윙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서
약간의 곡선을 그리며 옵니다. 이점을 참조하셔서 수초 또는 장해물이 있는 부분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유영하도록 하여서 배스의
바이트를 유도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라인 한 종류로 많은 종류의 루어를 사용하신다면 하이브리드 라인의 선택이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이브리드 라인은 위에 분이 이야기하였듯 산요GTR 울트라라인이 사용하여본 라인중에 제일 좋았다는 생각을 같지만(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가격이 낮지 않은 관계로 725야드가 감겨있는 요즈리 라인 추천하여 봅니다. 요즈리라인으로 웜을 비롯하여 하드베이트까지 사용하는데 불편함 없으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 되겠군요.

바이브레션 : 바이브레션은 보통 캐스팅 후 리트리브로 사용하신는 분들이 많은데 한가지의 액션을 주는것 보다는 저크&폴링, 바텀 리트리브등의 여러 액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좋으며, 바이브레이션은 싱킹, 서스펜딩, 플로팅 타입의 루어가 있으며, 바이브레이션은 청각효과로 배스를 유인하는
루어의 한 종류로서 루어속의 래틀음을 발생하기 위하여 속에 래틀이 들어있는 것과 없는 종류가 있으며, 래틀음 또한 약간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크랭크 베이트 : ml파워의 로드라면 립이 짧고 가벼운 크랭크 베이트를 사용하세요. 크랭크 베이트 운영방법는 보통 캐스팅 후
리트리브로 사용하는데 이때 원하는 수심층 또는 피셔가 원하는 지형에 도달하였을때 잠시 리트리브를 멈추어 배스의 바이트를
받아내거나 원하는 지형에서 크랭크의 립이 지형의 바닥에 닿았다가 떠오를 때나 장애물에 부딪쳐서 크랭크의 액션이 깨질때
배스의 바이트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견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