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하시기 전에 아래 글을 꼭 읽어주세요.
- 질문의 법칙
- 질문하시기 전에 이전문답글, 조행기&정보 등을 검색해주세요.
- 질문하신 분은 꼭 답변 채택을 하셔야 질문시 걸었던 포인트의 절반을 되돌려 받습니다.
- 답변을 채택되면 더이상의 추가답변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 문답게시판은 글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 모바일모드에서는 정상작동되지 않고 있습니다.

크랭킹 라인 어떤것이 좋을까요?

루어&태클 장인진(재키) 2011.03.20 23:27

크랭크베이트 사용할때 어떤 라인을 사용하면 좋을까요?

크랭킹에 좋은 라인 추천해주세요.

 

현재는..

초보시절에 구입한 P라인 플로로클리어 15Lb를 사용중인데

라인이 너무 굵어서인지 캐스팅 거리가 불만입니다.

 

의견 (0)

질문자 선택 답변 보기 답변등록

현재 답변들 8
쥔장 김진충(goldworm) 2011.03.20 23:49

저도 뭐 정답은 모릅니다.

 

하지만 라인이 너무 굵으면 루어 액션을 둔탁하게 만들고

적정 깊이까지 잠수하지 못한다 하더군요.

 

가장 많이들 쓰는 카본라인 10-12파운드 정도가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의견 (1)
육명수(히트) 2011.03.21 01:58

재키님 같은 고수분이 질문을 하니 부담스럽습니다.

 

저의 얇은 지식에 의하면..보통 크랑크를 만드는 회사에서도

해당 크랑크의 최고 수심을 Test할때  카본라인을 사용하되...

lb가 적은 라인을 사용하고..최소 7피트 이상의 낚시대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회사마다 규정이나, 기본룰이 있겠지만...어느회사인지 몰라도...7파트대에..8lb기준으로 산출한 것을 본적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레귤러 타입 6.6피트에 12lb 카본라인을 사용합니다.

쉘로우와 max 3미터권으로 사용중 입니다.

이상 허접 답변입니다.

 

p.s :  어떤분의 블로그에서 본 기억이 있습니다만..

        프리지그(케롤라이나리그?)처럼 크랑크에서 한 30~40cm위에 봉돌을 연결해서 캐스팅을하고...

       최대 수심을 보다 빠르게 공략하고, 비거리 또한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방법으로 보였습니다. ScreenHunter_057.jpg  . 

첨부
의견 (1)
이상훈(공주머슴님) 2011.03.21 06:42

 저도 카본 10lb쓰고 있는데..  모노라인도 좋을 거 같습니다.

크랭킹하는거야..  일단 바닥을 찍는 게 우선이기는 해도 리액션을 만들려면 카본보단 모노가~~ 낫지 않을지

 

 현재 카본라인 다 소진하면 모노를 감아 사용해볼 요량입니다.

10lb 이하가 적당하리라 봅니다.

의견 (1)
윤갑식(진돌이신랑) 2011.03.21 09:27

저도 참 궁금하던 것 중에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크랭크 베이트 사용시에 사용되는 라인들에 대해 여러가지 의견들이 많이 있는데요. 제가 ㄱ겪어본 바에 의하면 카본라인 사용시와 모노라인 사용시 잠행수심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모노라인 특성상 비중으 가볍고 물에 뜨려는 성질이 있어서 최대 잠수수심까지 도달시키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딥크랭크 사용시 저는 12파운드 이상의 라인은 잘 사용하지 않는데 비거리와 수중저항에서 가는 라인이 아무레도 굵은 라인 보다는 나은 듯 해서입니다. 다른 분들 중에는 루어에 부드러운 움직임이나 배스가 크랭크를 흡입하는데 모노가 나을 것 같다는 분들도 계셨습니다만 크랭크베이트 전용로드를 사용한다면 이 부분은 어느정도 상쇄가 될 듯힙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입니다. 폰으로 쓸려니 힘드네요 하하하

의견 (1)

이 부분은 이철프로님이 크랭크 전문이시니 조언을 충분히 해주시면 좋을꺼 같은데요...

저는 지금 P-Line C-XX 10LB 모스그린(하이브리드) 사용중입니다.

상대적으로 같은 파운드에 조금 굵지만, 파마현상 거의 없고, 매듭강도 좋아서 그럭 저럭 잘 됩니다. 일전에 해외 토너먼트 참가자들이 많이 사용한다해서 구입해서 사용중입니다. 쏘가리낚시에는 4LB 사용합니다.  

뭐 무식해서 잘 모르니 그냥 씁니다...

의견 (0)
박흥준(同行) 2011.03.21 11:04

딥크랭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사라인이 좋다고 책에서 읽었군요.

 

본인의 경우 모노, 카본, 합사라인 모두 사용하여 보았습니다.

 

*합사라인의 경우 가이드 마찰에 의하여 비거리 손실이 있는점 이후에는 나쁜점 없더군요.

*모노라인의 경우 16파운드를 사용하였는데 라인의 두께로 연신율의 불리한 점은 없으나 라인의 비중이 물과 비슷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심층 도달에 좀 불리하더군요.

*카본라인 14파운드를 사용하였으나 재키님이 이야기 하듯이 캐스팅 비거리가 불만족 스럽더군요. 그래서 10파운드를 사용하여서

매듭을 두겹으로 직결하여 사용하니 라인의 터짐 현상없이 좋더군요. 여기에 조금 더 부드러운 카본라인을 사용하면 조금 더

좋더군요.

추천 한다면 카본라인이면서도 코일링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시거 인비지 엑스라인 국내에서 구입하기가 힘들어서 그렇지 사용감

좋습니다.

*클랭크 전용로드가 아니라면 하이브리드 라인 또한 사용감 나쁘지 않습니다. 코일링현상 빨리 없어지면서 모노 카본라인의 모든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감 좋습니다. 10파운드 라인 사용하고 잇으면 매듭은 두겹으로 묶어서 사용합니다.

 

본인의 경우 크랭크 전용로드에는 합사라인 사용하여 딥크랭크 위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수심 3m까지의 크랭크의 경우에는 레귤러

테이퍼의 로드에 산요 G-TR 하이브리드 라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재키님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군요.

재키님이 "그냥게시판"에 올린 카발라스 링크 주소에 들어가 보니 시거 인비지 엑스 1000야드, 200야드 좋은 가격에 판매하고 있네요.

혹시 이라인 구입하시면 본인도 4파운드 라인 1000야드 1개 구입하고 싶군요. 

 

 

의견 (1)
이 철(2%) 2011.03.21 11:57
질문자로부터 선택받은 답변입니다

흐르는 강물처럼님의 협박분자에 굴복하며 답변 올립니다.

제 의견은 단지 참고사항으로 받아주시기를...

 

1-2미터 셀로우쪽이면 헤비 커버 크랭킹도 많이 하기에 라인 손상은 좀 있지만 도요 코바 6.4:1 카본 10파운드...

2-3미터 미들레인지는 도요 루비나 5:1 12파운드 모노라인...

3-4미터 딥레인지도 도요 코바(스텝용 5:1) 12파운드 모노라인...

5미터 이상 딮 에리어는 도요 데이빗 프릿츠 4.7:1 14파운드 모노라인 사용합니다.

 

요즘 카본 라인을 크랑킹에 많이들 사용하시는데 잠행 수심으로의 빠른 도달을 목적으로 그러하신 듯...

하지만 저는 자못 보수적이며 크랑크 고유 액션을 중시하기에 모노라인을 애용합니다. 

그리고 모노 라인의 한계를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다소 긴 크랑크 전용 로드(7피트급)와 케스팅 거리가 엄청난~ 도요릴을 사용합니다.

참고만 하시기를...

 

의견 (2)

이%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금번에 도요크랭크릴을 구입하고 나서 저도 크랭킹에 사용하는 라인에 대해서 궁금함이 많았습니다.

특히나 시합을 뛰시는 분들 중에 유독 크랭크를 많이 치시는 이%님이 어떤 라인을 사용하시나 더 궁금했었네요.

지금 감은 라인을 소진하고 나면-감은지 얼마되지 않아서- 바로 모노라인을 감아서 한번 시도해보아야겠습니다.

 

동행님의 전반적인 설명은 늘 루어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두분 모두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질문은 재키님이 하셨는데 제가 더 감사드리고 싶네요.

의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