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회 장만하기 (농어 회 뜨기)

김진충(goldworm) 쥔장 김진충(goldworm) 14109

0

2

낚시한지는 10년이 넘었지만 

몇년전까지만 하더라도? 회뜨기는 빵점이던 골드웜.


친구들이랑 바닷가 놀러가서 보리멸이랑 우럭 손바닥만한거 잡아놓고 어찌 처치할지 몰라 쩔쩔 매다가 

거의 쥐어뜯기 수준으로 회를 뜨던 시절이 있었는데...


농어낚시를 시작하면서 회를 회답게 뜨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아직도 전문가에 비하면 한참 떨어지는 아마추어 수준이지만,

나름대로는 한단계 업그레이드 되었다는 생각에 글을 올려봅니다.


먼저 회를 직접 뜨려는 이유는...

내 주위사람들에게 대접하고 싶은 마음이 크기 때문입니다.

회뜨기 작업을 직접 하면 회맛을 전혀 느낄수 없거나 맛이 없습니다.

비린내와 피냄새를 너무 맡아서 그런것인듯 한데, 하여튼 회뜨기를 하는 목적은 나보다는 남을 위해서라는 표현이 가장 잘 맞을겁니다.


손재주가 잼병인 골드웜이 해내는걸 보면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 

다함께 도전! 


준비물


1. 고기집게http://goldworm.net/shop/goods_detail.php?goodsIdx=259


2. 피빼기 내장제거용 뼈가위 : http://www.lureman.kr/shop/shopdetail.html?branduid=624


3. 잘 갈아둔 회칼과 왼손에 낄 면장갑


그외 도마, 키친타올, 주방용 , 마른수건, 비닐봉지 몇개




첫단계. 피빼기


골드웜의 기준으로 보면 거의 골드디오G3+15마력을 타고 보팅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고기를 살려서 보관할 방법이 없습니다.

따라서 고기를 잡자마자 피빼기를 즉시 시행하는데, 제일 간단한 방법은 가위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뼈가위"로 검색해보면 2~5만원선에 적당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데 제일 만만한 제품은 "버클리 뼈가위"가 될것입니다.

스텐이지만 녹이 잘 슬기 때문에 사용후 잘 씻어 바로 물기제거하고 식용유 조금 발라두는 것이 오래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낚아올린 조과물을 보통은 집게를 사용해 집어올립니다.

피튀김 방지를 위해서 보트밖으로 집게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목부분을 살짝 잘라줍니다.

너무 많이 자르면 바로 죽어버리게 되서 안좋고 적당히 잘라야 합니다. 

아가미 안쪽도 몇개쯤은 잘라줘도 좋습니다.

할수 있다면 꼬리쪽 척추뼈에도 칼침이 들어가면 좋은데, 이건 보트위 집게잡은 상황에서 하긴 힘들겁니다.

대신에 가위로 꼬리 뼈부분을 반정도 절단해버립니다.


또한가지더 농어 등지느러미가 보트원단에 구멍을 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농어 등지느러미 침부분을 다 잘라버리는것이 좋습니다.


집게를 잡은채 물속에 담그고 2-3분 기다립니다.

그럼 피가 뿜어져 나오는게 보일테고요.


보팅이 아닌 도보의 경우라면 바닥에 고기를 내려놓을수 있으니 링크된 방법대로 하시면 됩니다.

* 입질의추억님 블로그에서 퍼옴 :  http://slds2.tistory.com/1170



두번째단계. 내장제거

?

피가 완전히 빠졌다 싶으면 뼈가위로 배를 갈라냅니다.


턱아래 피빼려고 잘랐던 부분을 좀더 크게 자른후 

거기서부터 항문 방향으로 쭉~ 잘라나옵니다.


역시 보트안에 두고하면 피가 튀고 비린내가 심하므로 보트바깥쪽으로 집게를 들고 오른손으로 가위를 잡고 잘라나가면 됩니다.

내장제거는 조금만 익숙해지면 쉽게 할 수 있고,

보트위에서 해야하는 이유는 첫째 집에와서 처리하기가 힘들기 때문이고 둘째는 고래회충 방지용 및 선도유지용입니다.


고래회충(아니키사스)는 보통 고기의 내장에 자리잡고 있는데, 고기가 죽고나면 그걸 인지하고 내장에서 탈출을 시도합니다.

그후에 살쪽으로 박히게 되는 것이죠.

고래회충이 살쪽에 박히더라도 회를 얇게 써는 과정에서 대부분 죽게 되지만, 가끔은 살아남아 사람의 위장속으로 들어가고 그중에 아주 극소수가 위장을 뚫고 사람몸속으로 들어가려는 시도를 하게됩니다.


아나고회를 먹고 심한 복통을 알았던 적이 있는데, 

병원에가서 내시경으로 위장을 열심히 뚫고 있는 고래회충을 끄집어 냈더라는 이야기는 심심찮게 들을수 있습니다.


고래회충을 방지하기 위해선 내장제거를 미리하면 좋지만,

그렇게 하지않아도 대부분 회를 칠때 내장쪽 살을 다 잘라버리므로 탈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몇년간 농어회를 먹으면서 고래회충이 있나 유심히 살펴봤는데, 단한번도 볼 수 없었고,

또 제가 만들었던 회를 먹고 배탈이 난사람도 단한번도 없었으니까요.


너무 걱정할 부분은 아니지만 가급적이면 내장제거를 바로 해버리는것이 좋더라는 이야기입니다.


※ 입질의추억님블로그 고래회충에 관한글 : http://slds2.tistory.com/762



세번째단계. 포뜨기


보통은 고기를 아이스박스에 담아온 후 포를 뜨게되지만,

그과정에 살이 물러지고 식감이 많이 떨어지게 됨을 경험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현장에서 먹는것처럼 맛있게 먹고 올수 있을까 라는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결론은 고기잡고 피빼고 내장제거후 바로 포를 떠서 가져오는것이 좋더라는 것입니다.


포를 뜨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고,

사실 낚시꾼은 포만 뜰수 있다면 회장만의 90%는 완성한것이나 다름없습니다.

포를 뜨는 과정은 제가 수없이 봤던 동영상 하나로 대신할까 합니다.




대형어종이나 소형어종 모두에게 통할수 있는 방법인데

껍질을 벗겨내지 않고 포를 뜨면 껍질제거 과정중에 도마에 이물질이 많이 묻고 씻고 닦는 과정을 현장에서 하기엔 번거롭기 때문에 그과정을 최소화하고자 껍질을 먼저 벗기고 포뜨기를 마무리 합니다.


사진의 포뜨기 과정이 좋은 점은 도마없이도 포뜨는 작업을 시행할 수 있고,

비교적 포에 비늘이나 이물질이 묻을 확률도 적습니다.


농어도 동영상처럼 그대로 작업하면 되는데, 이때 중요한것은 칼이 잘 들어야 한다는 것.

※ 칼 갈기에 대해서는 아래에 따로 글을 적겠습니다.


포를 떠낸후에는 썰지말고 랩을 이용해 두번정도 싸주면  포뜨기 작업 끝.


동영상처럼 포뜨는 방법 말고도, 

내장, 껍질, 비늘 제거하지 않은체 바로 포뜬후 껍질제거 하는 방법을 저는 더 선호합니다.

좀더 빠르기 때문에...


포뜨는 작업에서 주의할점은 칼과 도마의 위생상태인데,

칼은 키친타올 등으로 자주 닦아서 내장에 묻은 피 등이 포뜨는 살에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포뜨기 연습은 배스가 제일 좋은듯 합니다.

깨끗한 저수지 댐등에서 잡은 배스 피빼기를 한후에 포뜨기 연습을 해보세요.

포를 뜬후에는 소금을 쳐서 간을 해놨다가 생선가스로 만들어 놓고 농어생선가스라고 하면 아무도 눈치 못챕니다. 



갓 잡은 농어를 포뜨는 과정


촬영에 라이트닝님이 수고해주셨고 칼잡이는 골드웜입니다.


20130630_081811.jpg


고기가 너무커서 아이스박스 윗판을 임시도마로 준비중



20130630_085301.jpg


옆 지느러미뒤쪽에 칼집을 넣습니다.

칼이 들어가는 방향이 대각이 되어야 살이 좀 더 나오겠죠.

내장 제거하고 비늘까지 치고 하면 좋겠지만, 바빠서...  그냥 바로 했습니다.


내장을 터뜨리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중요한 내용 : 사진은 칼을 좀 깊숙히 넣은 것으로 나왔지만, 실제 작업에선 칼끝만 살짝 들어가야합니다. 거의 껍질만 벤다는 느낌으로 칼집을 넣으셔야 껍질을 벗길때 살이 딸려 올라오질 않습니다.



20130630_085324.jpg

20130630_085339.jpg


껍질벗기기 방법을 시도하려고 칼집을 넣는 중...

등 지느러미를 따라 가볍게 칼집만 넣으면서 

칼에 묻는 비늘은 닦아내면서 진행합니다.



20130630_085359.jpg

20130630_085407.jpg

20130630_085413.jpg


같은 요령으로 배쪽도 칼집을 넣습니다.

내장 터뜨리지 않도록 주의



20130630_085506.jpg


껍질을 벗깁니다.

양손 모두 장갑을 끼면 좋고,

잘 벗겨지지 않으면 칼로 껍질과 살부위를 살짝 눌러주면서 조금씩 진행합니다.



20130630_085540.jpg


배쪽살이 껍질에 붙어서 그냥 따라와버릴수도 있는데,

뱃살은 껍질에서 따로 분리해도 되므로 쭉 당겨버립니다.



20130630_085553.jpg


한쪽면을 껍질벗기기 성공.


이제 장갑을 깨끗한것으로 바꿔끼고... (아니면 장갑을 잘 닦고)

포를 떠봅시다.



20130630_085613.jpg


포를 뜰때는 한번에 너무 욕심내지 말고

뼈곁에 칼을 붙이고 긁는 다는 기분으로 슥슥 조금씩 진행합니다.



20130630_085625.jpg


여러번의 요령이 필요한데,

처음엔 좀 버린다는 생각하면 마음편합니다.


요령은 역시 뼈에 칼을 바짝 붙이고 조금씩 베어간다는 느낌으로 진행




20130630_085644.jpg

20130630_085645.jpg


꼬리까지 진행후 다시 반대로 조금씩 베어나갑니다.



20130630_085712.jpg


등뼈 중간부분을 지나쳤을때도 마찬가지로 뼈에 칼을 붙여대고 긁는 다는 느낌으로 

베어가면 됩니다.


내장을 제거하고 작업한다면 바로 끊어버리면 되는데...


내장을 제거하지 않았으므로 배쪽 처리가 조금 힘듭니다.



20130630_085716.jpg

20130630_085722.jpg


내장을 감싼 갈비뼈를 끊어내지 않고

뼈라인을 따라 타고 들어갔습니다.


내장을 제거한 후였다면 갈비뼈까지 잘라서 제거해도 됩니다.


뱃살부분을 살려내는것이 처음엔 좀 어렵습니다만...

처음엔 좀 포기하는것도 요령입니다. 


자꾸 하시다보면 마지막 처리가 쉬워집니다.



20130630_085750.jpg


한쪽 포를 모두 떠낸후 그림..




포자르는선.jpg


지아이 라고, 잔뼈가 있는 라인이 있습니다.

고기가 작을때는 무시해도 되지만, 큰녀석은 이부분을 잘라서 잔뼈를 처리해줘야 합니다.

특히 배위쪽에 굵은가시가 좀 있습니다.


지아이쪽을 자르면 아래쪽은 뱃살

가운데는 중간살,

위쪽은 등살이 됩니다.


고기결 반대방향으로 비스듬히 썰어주면 회가 완성됩니다.



네번째단계. 운반


포를 떠내고 랩을 싸는 과정까지는 최대한 신속하게 할수록 선도유지에 도움이 되고 

식감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1. 랩으로 싸놓은 것을 마른수건으로 둘둘 말아줍니다.

마른수건이 없다면 신문지 등으로 싸주는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2. 키친팩에 넣거나 비닐봉지로 싸는 등으로 해서 얼음이 녹으면서 생기는 물이 횟감에 젖지 않겠금 해야합니다.


3. 아래쪽에 얼음 그위에 횟감봉지. 마지막으로 다시한번 각얼음  이렇게 아이스박스 안을 3단으로 쌓아주면 운반준비는 끝.


핵심은 얼음과 직접 닿지 않을것, 얼음이 위아래에 위치할것, 얼음 녹은 물이 스며들지 않을것.


아이스박스는 가급적 보냉시간이 긴 제품이 좋은데, 가격이 워낙 비싸지므로 일반 아이스박스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만, 대신 얼음은 충분히 넣어줘야 합니다.

각얼음은 낚시점이나 슈퍼에서 구매하면 2-3천원이면 구매가능하고,

각얼음이 없고 통얼음만 있다면 비닐봉지 등에 넣어 망치등으로 퉁퉁 때리고 부셔서 넣어도 됩니다.


저는 일단 출발전에 아이스박스에 1.8리터 생수 얼린것을 미리 구매합니다.

 ※ 큰 슈퍼엔 미리 얼려둔것을 냉장고에 넣어두고 판매하는 곳이 많습니다.


1.8리터 얼음생수병 3개. 각얼음 2천원짜리 한봉지... 그리고 음료수를 아이스박스에 담아가서

1.8리터 얼음생수병을 바닥에 깔고 그위에 포를 떠둔 횟감봉지를 올리고 다시 그위에 각얼음 한봉지 까서 부어주고...

낚시를 마치고 나올때 얼음이 부족하다 싶으면 각얼음 한봉지 추가.


지난 일요일 이런방법으로 아침 6-7시경 잡았던 팔짜 농어를 잡고나서 한시간이내에 포를 떠내고 랩에 말고 수건에 싸고 비닐봉투에 담고 얼음사이에 보관... 

그리고 오후 4시경에 돌아와서 회를 썰어먹었는데, 식감이 좋았고 선도유지 또한 훌륭했습니다.


여름농어 자칫하면 물러져서 집으로 가져왔을때 먹기 힘든데, 위 방법을 이용한다면 아주 맛있게 먹고있는 가족이나 친구들을 보게 될것입니다.



마지막단계. 썰기와 맛있게 먹는법


회를 썰때는 고기의 결 반대방향으로 써는것이 기본입니다. (위 열기 동영상 참고)

작은 고기는 그냥 바로 썰면 되지만,

조금 사이즈가 되는 고기는 포를 떠낸곳에 중간부분(측선 부근)을 따라 잔뼈같은것이 있습니다.

이것을 "지아이" 라고 부르는데... 

잔뼈라인을 따라 포를 자르고 다시 떠주는 작업이 되어야 하는데, "회 뜨기" 라고 동영상 검색을 해보면 지아이를 제거하는 여러 방법들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 고기들은 그냥 썰어도 무방합니다. 농어기준으로 50-60 이상은 되야 지아이가 신경쓰일 정도... 

회간장.jpg

그리고 회를 먹을때는 가급적 상추, 깻잎 등에 싸먹지 말고 회를 바로 드시는 것이 회맛을 음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광어 우럭 쥐노래미 농어 등의 흰살생선은 초장보다는 고추냉이(와사비)+간장이 제격이고

방어 부시리 참치 등의 붉은살 생선은 초장이나 된장이 좋습니다.


고추냉이+간장은 저는 옥션에서 구입하는데, 다음제품입니다.

일본식 회간장은 일반 양조간장보다 훨씬 달고 고추냉이는 분말이 아닌 생 고추냉이라서 맛이 더욱 진합니다.


대개 간장에 고추냉이를 풀어서 찍어먹는것이 일반적이지만, 회 한점에 고추냉이를 살짝 얹어서 간장에 찍어먹는 방법도 맛있게 회를 즐기는 방법입니다.



정작 본인은 많은 수고를 하고도 맛있는 회를 먹을수 없지만,

내가 잡은 고기로 나의 가족이나 친구들이 맛있게 먹는 모습에 기쁨을 느끼고 싶다면...

꼭 한번 똑같이 도전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포 뜨기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회뜨는 또다른 방법


입질의추억 블로그에서 퍼온 

 노래미 회뜨기  : http://slds2.tistory.com/776

 내장을 싹 제거하고 회뜨는 손쉬운 방법으로 숙련되면 아주 편리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작은 어종을 회뜰때는 해볼만 합니다.


 대형어종 부시리 회뜨기 http://slds2.tistory.com/1197

 


노래미 손위에서 회뜨기 :

http://video.search.naver.com/search.naver?sm=tab_hty.top&where=video&ie=utf8&query=%EB%AA%85%EC%9D%B8+%ED%9A%8C%EB%9C%A8%EA%B8%B0&x=-595&y=-51


 자칫하면 칼로 자기손을 벨수 있어서 위험하기는 하지만, 칼질이 능숙하다면 해볼만 해보입니다.

 초보때는 따라하지 않는것이 좋을듯.


광어 석장뜨기 

http://www.youtube.com/watch?v=dSVCizFm6xA


 업소에서 작업하는 가장 깔끔한 형태.

 




김진충(goldworm) 김진충(go..
11Lv. 12680P
다음 레벨까지 280P

즐거운 낚시

즐거운 활쏘기

즐거움 검도

공유스크랩
2

저도 여름철 광어 등이 살이 금방 물러져서 고생하고도 만족하지 못했던 적이 많았는데 골드웜님 방법을 함 써봐야겠습니다.

근데 보트 접고, 포뜨고, 도착해서는 보트 내리고...

피곤하고 귀찮아서 잘 될진 모르겠지만, 쫄깃한 회를 먹을 수 있다면...

도전해볼만 할 거 같습니다.

 

 

13.07.19. 16:41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주간 조회 수 인기글

주간 추천 수 인기글

추천 수 (낮은순)
  • 2005년 10월에 올라왔던 글입니다.춘천하면 골드웜에서는 춘천계를 떠올립니다.춘천호 신포리, 김지흥님의 형님이 운영하시던 낚시터.아름다운 경치.김지흥님 정경진님 푸른아침님과 밤새 나누던 술잔.골드웜네 많은 분들과의 첫만남이 이루어진 장소기도 합니다.또 모닝...
  • 회 장만하기 (농어 회 뜨기)
    낚시한지는 10년이 넘었지만 몇년전까지만 하더라도? 회뜨기는 빵점이던 골드웜. 친구들이랑 바닷가 놀러가서 보리멸이랑 우럭 손바닥만한거 잡아놓고 어찌 처치할지 몰라 쩔쩔 매다가 거의 쥐어뜯기 수준으로 회를 뜨던 시절이 있었는데... 농어낚시를 시작하면서 회를 ...
  • 회칼 갈기
    김진충(goldworm) 쥔장 김진충(goldworm) 조회 1011213.07.01.19:20
    칼 가는 법숫돌은 번호가 매겨져 있습니다.보통 400, 800, 1000, 2000 번 이런식으로 번호가 매겨지는데 번호가 높을수록 곱게 느리게 갈아집니다.칼날을 잡을때는 낮은번호로... 날을 예리하게 할때는 1000번 2000번정도로 마무리하게 됩니다.저는 이중에서 1000번만을 ...
  • 제목: 엘지 보닌 - 선스틱분류: etc이름: 양현(joker)등록일: 2009-05-12 12:36조회수: 3342 엘지 보닌 - 선스틱안녕하십니까 조커입니다.리뷰게시판에 대해서 여러분들이 글을 남기시는 것에 대해"내가 뭘 대단하게 안다고..."라고 부담스러워 하시는듯 하여제가 첫빠따...
  • 제목: 라팔라 웨이더&아쿠아즈 계류화 리뷰입니다.분류: 소품이름: 양현(joker)등록일: 2009-07-30 10:44조회수: 5252 라팔라 웨이더&아쿠아즈 계류화 리뷰입니다.안녕하십니까 조커입니다.이번 리뷰는 웨이더와 계류화입니다.호수나 저수지등이 비가 많이 와서 뒤집어지...
  • 루어낚시 용어정리※ 이해를 돕기위해 간략하게 적었습니다. 루어낚시의 역사가 미국에서 먼저 시작되다보니 어쩔수없이 미국식용어를 사용할수 밖에 없습니다. 루어낚시는 캐스팅이 50% 라고 이야기들 합니다. 제 생각엔 용어를 아는것도 50% 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틈...
  • 위도경도 도분초 좌표변환법
    제가 사용하는 로렌스어탐은 위도경도좌표 입력시 도분초 를 이용하고 있고, 대부분의 지도어플 혹은 프로그램들은 소수점방식을 사용합니다. 예를들면 오늘 조행기에 올렸던 낙동강 곶부리 포인트에 좌표는 위도 = 35.94015557597627, 경도 = 128.3957501507684 ? 이 좌...
  • 유투브 동영상 삽입하기 정말로 어렵내요. 이전소스 코드 사용하기 .....체크상자가 없어져서 어렵습니다. 확장 컴포넌트에서 검색이 되려면 하루를 기다려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고 어떤것는 검색이 되지도 않아서 어렵습니다. 동영상에서 공유-->소그코드-->이전소스코...
  • 영상이 고화질에 설명이 잘 첨부되어 있어서 참고하기에 좋을듯 합니다. 광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생선은 이것과 거의 유사한 과정으로 오로시(포뜨기)작업을 합니다. ※ 참고자료 농어 현장 회뜨기 (껍질 벗겨내고 포떠내는 버젼) http://goldworm.net/1038335 회칼 갈기 ...
  • 농어나 기타어종은 좀 해봤다 싶어서 자신감이 있었는데, 광어는 통 잡아보질 못했기때문에 요 몇번의 조행에서 힘이 많이 들었습니다. 아래 동영상들은 네이버카페 일식조리사클럽에서 링크해온것으로... 그곳 운영자이신 이찌방님의 영상입니다. ※ 일식조리사클럽 : ht...
  • 회칼 소개 (스이신 스페샬 이녹스 창칼)
    2014년도에 구입했었네요. 지금까지 아주 잘 쓰고 있는 칼 저의 낚시용 회칼입니다. 칼의 형태는 장어손질용이며 데바칼과 사시미칼의 중간쯤 가는 창칼입니다. 2만원짜리 가죽집에 레이저로 이름도 새겨넣었습니다. 구입좌표는 여깁니다. http://www.kalesma.com/goods/...
  • 커보이게 사진찍는 법
    ?오래전에 조커님이 올리셨던 글중에 배스 커보이게 사진 찍는법 이라는 글이 있었습니다. 찾아보면 어디 나올텐데 검색보다 다시 쓰는게 나을듯 하여... 일단 사진으로 적당히 설명이 되는데... 손가락을 최대한 덜 노출되거나 좀 뒤로 가게 해야한다는 것. 주인공이 체...
  • 2014년 재키의 월별 낚시 대상어
    낚시 10년차, 바다보팅 3년차인 재키의 월별 낚시 대상어는 아래와 같습니다.대체로 아래와 같은 패턴으로 특별한 일이 없으면 매주 토요일에 출조합니다.채집하기 좋은 사리때에는 가까운 바닷가로 소라, 박하지 등 해루질 나갑니다. 출조전에 대상어를 결정하고 대상어...
  • 선상 광어다운샷을 위한 준비물
    선상 광어 다운샷 낚시를 위한 준비물 배스채비 그대로 들이대보아요~ ? | 빨래판광어와 도도님 아직 선상 광어다운샷을 제대로 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루어낚시방법과 크게 차이가 없을듯하고, 얼마후 이런저런 준비 및 출동이 있을듯하여 적어올려봅니다. 배스루어를...
  • 버너와 코펠
    ? 주로 고무보트를 이용해 낚시를 하다보니 보트위에서 물 끓여 커피마시거나 컵라면에 물 붓거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의 오랜 태클중에 하나. 바로 코베아 X1 버너와 알루미늄바람막이 그리고 코베아 이스케이프 코펠입니다. 코펠은 작은것과 큰것 두가지인데, 작...
  • 릴에 감겨있는 라인 풀기
    릴에 감겨있는 라인을 풀어내려고 할때나 감겨있는 라인을 풀어서 다른 릴에 옮기고자 할때 사진에서처럼 전동드릴을 사용하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네임펜이나 싸인펜 펜대에 빈 스풀을 고정하고 스풀이 고정된 펜대를 전동드릴 척에 물려서 드릴을 돌리면 줄...
  • 주꾸미/갑오징어 살림망
    주꾸미 낚시중에 살림망 떨어뜨리는 분들 많이 계십니다.혹은 밑구멍이 빠져서 열심히 낚은 대부분을 방생하셨다거나.. 금년 시즌에 대천항 입구의 낚시방에서 구입한 주꾸미 살림망입니다.이렇게 만들면 절대로 망이 떨어지거나 밑구멍이 빠지지 않을 것입니다.더이상 ...
  • 방어 사상충
    김진충(goldworm) 쥔장 김진충(goldworm) 조회 1293113.09.23.23:09
    ?조금전 늦은 저녁식사도중에... 그놈이 또 나와서 이렇게 글을 한줄 더 써봅니다. 일전에 올린 조행기에도 한번 언급했던 내용인데, 방어 사상충이라는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글을 좀더 아래로 내리면 상황에 따라 징그럽다 느낄수 있으니 비위가 약하거나 싫으신 분...
  • 해동지 (회 뜰때 필수품입니다)
    키친타월 정도만 생각했지 해동지는 실제 쓰는걸 작년에 부시리 회뜨는걸 보고 처음 알았습니다. 키친타월보다 보푸라기도 덜 일어나고 포 떠낸 횟감을 냉장고에 보관할때 제격입니다. 키친타월 대용으로도 사용가능합니다. 한 박스에 3만원 초반이고 한 박스에 양이 엄...
  • 삼치는 고등어처럼 살이 무르고 빨리 죽기 때문에 현장에서 회로 먹어야만 한다고 생각했는데, 대삼치의 경우는 피빼고 내장제거 잘하고 얼음만 잘 재워오면 약간의 숙성을 거친후 먹었을때 더 맛있더라는것을 이번에 알았습니다. 삼치회뜨는것도 농어와 크게 다를바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