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보트낚시 동선에 관한

김진충(goldworm) 쥔장 김진충(goldworm) 4396

0

2
보팅낚시는 일종의 동선이 알고 그것을 지키면서 행하면 실수를 줄일수 있습니다.

작은실수로 프로펠러를 부셔먹는 등의 손해를 입거나

크고작은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보트 펴기 전


 

1. 바람

바람이 어디로 불지 확인합니다.

바람을 안고 복귀해야할 경우, 

특히나 계절풍과 유속이 동반되면 무척 바람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엔진없이 가이드모터로만 운용할경우는 복귀 불가능한 사태가 생길수도 있으니

바람방향에 유의해야만 합니다.

바람 방향은 골드웜네 하단에 링크된 윈드그루, 혹은 윈드파인더 등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2. 연료만충, 오일혼합

연료는 항상 충분해야합니다.

연료가 떨어져서 견인되어온다는것은 있을수 없는일입니다.

이동거리를 짐작하고 연료소모량이 절반이다 싶으면 그때부터는 오로지 귀환하는 방향으로만 움직어야 합니다.

50대1 오일혼합도 잊으면 안됩니다.


3. 누군가에게는 출조사실을 알리기

골드웜네 일정관리, 공개적인것이 싫다면 지인들 단체카톡, 밴드 등을 통해서라도 알리고 나가세요.

바다는 거리에 관계없이 원거리신고.

오지에서 난처한 상황에 처했을때 아무도 그사실을 모르는 것이 가장 위험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출입항 사실을 어떤방식으로든 지인 혹은 해경에게 통보하세요.


4. 최소한의 식수, 음식 준비

대부분 먼거리를 다니지는 않지만, 생수몇병과 초코바의 아쉬움을 느끼고나면 꼭 챙겨다니게 됩니다.


5. 엔진기본공구 및 공구류

점화플러그와 엔진구입할때 따라오는 기본공구 그리고 칼이나 줄 같은것들은 항상 챙겨두도록 합니다.

태클박스속 가장 깊은 곳에 넣어둡니다.


6. 보트 펼자리는 걸리적 거리지 않는 곳

인공적인 슬로프 혹은 자연슬로프 모두다 나혼자 독점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슬로프를 떡하니 막고 고무보트를 펴고 있을때 뒤에서 기다릴 사람들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면

물위에서 아쉬운순간에 도움도 기대하기 힘들어집니다.

보트낚시인끼리는 서로 도와야하고 

서로 양보하고 배려할줄 알아야합니다.


차는 걸리적 거리지 않을곳에 주차하고

멀찌감치에서 조립하고 딩기돌리 바퀴의 힘으로 재빠르게 슬로프를 벗어날것.


7. 보트조립에서의 일정 동선을 지킬것

짐들이 너저분하게 보이지 않도록 잘 정리하면서 내려놓을것

내려놓는 순서와 내려두는 위치등은 가급적 똑같은 순서를 지킬것

보트보자기에서 보트를 땅에 내려놓는 위치는 차량과 적당한 간격을 두어 복잡하지 않게 할것

밧데리와 전동펌프는 밸브가 많은쪽인 보트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 좋음


초기 보트에 공기주입시 마냥 지켜볼것이 아니라 

바닥판조립, 낚시대 세팅, 딩기돌리나 어탐기 결합 등의 일을 동시에 수행하면 조립속도가 훨씬 빨라집니다.


보트조립은 바닥이 편편한곳이 좋지만, 굴곡이 심한경우엔

노를 깔아서 평탄을 확보.


바닥판 옆 스트링거 조립이 가장 힘든편인데,

힘으로 밀어넣기 보다는 방향을 맞추면서 좌우 바닥판을 들어주어 수평만 맞추면 쉽게 조립이 됩니다.


공기주입펌프에 흙이 들어가지않도록 주의.

각 격실간 균등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적절히 배분하며 공기를 주입할것




보트가 물위에 뜨자마자


 

1. 신발 흙 털고타기

귀찮다고 이부분을 간과하지만, 

깔끔한 보트내부를 유지하는 단하나의 방법은 흙털고 보트탑승하기 입니다.

보트내부가 깔끔하고 정돈되어 있으면 사고방지에도 효과가 좋고,

보다 쾌적한 낚시가 가능합니다.


2.  재빨리 슬로프에서 이탈

보트가 물에 띄워진후엔 재빨리 슬로프에서 이탈하여 깊은곳으로 이동하여야 합니다.

얕은 곳에 있다가 보트가 어딘가에 얹혀져서 오도가도 못하는 경우도 있고,

다른 선박과 충돌 혹은 방해가 되기도 합니다.

가이드모터, 엔진 등을 이용해 슬로프로 부터 먼거리로 깊은곳으로 이동이 우선입니다.


3. 딩기돌리 제거

주차브레이크를 당겨놓고 차량운행하는것과 같은것이 딩기돌리를 내려둔채로 보트를 운행하는 것입니다.

보트에 무리를 줄 뿐만아니라 그대로 운행하다간 트랜솜판을 찢어버릴수도 있습니다.


4. 엔진시동 및 임펠라 체크

처음 시동은 연료펌프질이후에 악셀을 중간이상 올려두고 시동로프를 두세번 당겨봅니다.

그래도 걸리지 않으면 초크밸브를 당겨놓고 시동로프를 한번 당긴뒤 다시 초크밸브를 닫고 두세번 당겨보기를 반복합니다.

시동이 안걸릴 경우는 이과정을 되풀이하되 너무 급하게 하지말고 조금식 간격을 두고 쉬엄쉬엄 해줘야합니다.

오랫동안 시동을 걸지않았다면 한시간씩 이과정을 되풀이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에는 

시동안전줄이 뽑히지 않았는지

노킹현상이 있을경우 - 캬브레타 황동나사부분을 열어 입으로 불어낸후 결합

점화플러그를 분리하여 닦아준후 결합,

연료계통이 잘 작동중인지 체크  등을 체크해봅니다.


5. 짐배치 및 고정

연료통, 밧데리 등의 고정끈을 체결하고

보트내부의 짐들을 정상위치로 잡아줍니다.

빠르게 달릴때 바람이 날릴소지가 있는 것들은 어딘가에 수납하거나 눌러주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


6. 시동안전줄, 연료통 에어코크

연료통 에어코크를 열어두지않아 연료통이 홀쭉이가 되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대로 방치하면 압력이 증가하여 연료가 올라가질 않게됩니다.

시동안전줄은 반드시 손목이나 구명조끼에 착용합니다.


7. 휴대폰 방수

지퍼팩 혹은 방수팩등을 이용해 물에 빠지더라도 휴대폰 사용이 가능하도록 방수처리합니다.

그리고 구명조끼 주머니속에 지퍼를 잘채워 보관합니다.


위급시 휴대폰은 가장 확실한 통신수단입니다.

물에 빠졌을때 방수처리된 휴대폰을 가지고 있지 못한것과

통신을 할수 있는 것의 차이는 극단적인 상황을 금방 모면하게 해줍니다.


8. 구명조끼 착용

보트낚시에서 구명조끼의 바른 착용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부력제 타입 구명조끼는 가랭이끈 반드시 착용하고 지퍼를 올릴것,

팽창식의 경우 가끔 분해하여 입으로 불어서 터진데가 없는지 살필것.


그외

항내 활주 금지, 교각주위 활주 금지





보트운행 및 낚시 도중


 

1. 전방주시

전방 및 전화좌우를 자주 살펴 다른보트와 교차되지 않도록 주의

부유물 확인

큰배가 지나간후엔 큰파도가 뒤따르므로 서행


2. 기어는 중립에서 시작과 끝


3. 연료량체크

1/3 가는데

1/3 돌아오는데

1/3 예비분

낚시도중 연료가 절반정도 남았다면 

돌아오는 방향으로만 낚시를 행하여야 합니다.

연료가 부족해 견인되는 일만큼은 절대 없어야 합니다.


4. 오줌빨(임펠라) 확인


5. 낚시바늘 및 루어는 태클박스에 바로바로 수납할것


6. 타 장르낚시인에게 민페의 표적이 되지않도록 할것

최대 접근거리는 50미터 이내.

벗어나는 경우에는 가급적 가이드모터만 사용 

혹은 엔진 아이들링상태로 파도가 일지 않도록 할것

저수지 엔진사용 금지.


7. 바람이 강해질때 철수시기결정


8. 무리하지 말것


9. 물속에 사람이 있을경우엔 엔진부터 정지


10. 음주운전 금지


11. 연안과 일정거리 유지 운행




철수와 보트접안


 

1. 바람방향 물흐름을 예측하고 보트를 세울것


2. 연료커넥터 분리후 연료태우기


3. 딩기돌리 장착


4. 연안에 날카로운것이 없는지 살필것


5. 슬로프에서 빠르게 이탈하여 한적한장소로 보트이동


6.  보트해체시 동선을 일정하게 지킬것




 연관하여 읽을만한 글들


고무보트 처음부터 끝까지 http://goldworm.net/1478430


남의 보트를 처음탈때  http://goldworm.net/1380830


골드웜네 동반출조규칙 http://goldworm.net/308256


고무보트 접기 & 엔진세척 http://goldworm.net/1039906


보팅용 루어회수기 http://goldworm.net/1392662


슬로프예절 http://goldworm.net/936315


보트입문요령 http://goldworm.net/941484


닻에 관한 이야기 http://goldworm.net/1010073


골드디오265 이야기 http://goldworm.net/1046259


고무보트의 로드거치법 http://goldworm.net/1453024


보트필수품 낙하산줄 http://goldworm.net/1479562


엔진과 보팅이야기 http://goldworm.net/792471


골드웜의 조종면허 도전기 #1 http://goldworm.net/778766 


골드웜의 조종면허 도전기 #2 http://goldworm.net/778788






김진충(goldworm) 김진충(go..
11Lv. 12119P
다음 레벨까지 841P

즐거운 낚시

즐거운 활쏘기

즐거움 검도

공유스크랩
2
profile image

아직 작성 중이시라 좀 이른감이 있지만 가족 여러분이 꼭 지키셔야 하는 부분이라 글 남깁니다...

몇일전 포항 앞바다에서 아찔한 사고가 있었음을 지인께 전해 들었습니다...

고무보트를 타고 낚시를 하시던 분이 바다속 그물에 프로펠러가 걸리면서 보트가 뒤집어진 사고가 있었습니다....

다행히 보트를 몰던 분은 표류중에 인근에서 삼치 조업 중이던 배에 발견이되어 구사일생으로 구조되셨다네요....

동영상을 봤는데 정말 아찔한 상황이였던거 같았습니다....

 

 

14.11.11. 14:40
profile image
장현수(또라에몽)

이야기만 들어도 끔찍하네요.

아마 휴대폰이 젖어서 해경에게 전화도 못걸었던 상황같습니다.


휴대폰은 항상 지퍼팩에... 

14.11.12. 00:29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조회 수 (높은순)
  • 낚시배 예절
    남에 보트를 처음 타게될때의 요령 http://goldworm.net/review/1380830?위에글을 작성해두었더니 "더러워서 낚시배 탈란다!?" 라는 반응들이 일부 있더군요.낚시배는 타면 내마음대로 해도 되는가? 라고 한다면거기에도 매너가 필요합니다.왜냐하면 배 전체를 통째로 전...
  • 바다보팅용 밧데리보관통 만들기
    고무보트로 바다보팅을 나가는 경우에 어탐기를 장착하게 되면 어탐기용 밧데리도 필요하게 됩니다. 기존밧데리는 너무 무거우니 작은걸 찾게 되는데, 오래전 얻어둔 18A 짜리 작은 밧데리가 있어 이것을 이용하는데... 밧데리가 너무 작으니 고정해둘 방법이 별로 없습...
  • 혁명선, 바닥판조립없는 공기주입타입보트...
    ?쥬브보트는 종류별로 단계별로 다 타보았다 생각을 해봅니다. 10년넘게 바꾼 보트만 10대도 넘은거 같습니다. 혁명선 이야기를 듣고는 한번 타보고 싶다는 궁금증은 생겼지만, 이제 쥬브보트의 종착까지 온마당에 뭣하러? 이런생각. 그래도 자꾸 듣다보니 궁금증이 생겨...
  • 간단한 선외기 정비
    김외환(유천) 조회 536314.12.17.20:00
    안녕 하세요 유천 입니다 몇달전 울진 광어 낚시 갔다가 시동줄 꼬임으로 견인되고 인근 정비 업소에서 시동줄 교체를 하였으나 원래 시동줄보다 가늘어 신경쓰여 왔는데 시즌 마감으로 보트며 선외기 집으로 들인뒤라 오늘 시동줄 교체및 점화코일 정비좀 해 봤습니다 ...
  • 보트필수품 낙하산줄
    보트낚시에서 꼭 필요한 소품중 하나가 로프입니다. 일반 로프는 너무 두껍고 그렇다고 빨랫줄을 쓰자니 폼 안나고 뭐 좋은것 없을까? 하다가 찾아낸것이 낙하산줄, 다른이름은 파라코드 라고도 합니다. 보통 30미터단위로 끊어 팔고 가격은 만원내외 이 가는줄이 한사람...
  • GPS 사용자를 위한 안동호 상세 지도 (pdf 파일입니다)안동호 지도입니다.안동호 지도는 골드웜님이 작성하신 훌륭한 지도가 있고 배스라이프 정보 게시판에 가시면 블루버드님께서 상당한 정성을 들여 잘 만들어 놓은 커다란 지도가 있습니다.이번에 제 나름대로 필요한...
  • 골드웜의 어탐거치대
    고무보트에 어탐센서와 어탐기의 거치방법은 늘 고민거리입니다. 이런 저런 자기만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저는 일전에 공주머슴님이 ?공동구매했던 어탐브라켓을 사용중입니다. 잘 사용해오다가 최근 엘리트-7 어탐기로 변경하면서 조금 고민이 생겼는데, 어탐기...
  • 보팅낚시는 일종의 동선이 알고 그것을 지키면서 행하면 실수를 줄일수 있습니다.작은실수로 프로펠러를 부셔먹는 등의 손해를 입거나 크고작은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보트 펴기 전 1. 바람 바람이 어디로 불지 확인합니다. 바람을 안고 복...
  • 골드디오 보트세팅 몇가지 그림
    ?며칠전 집앞강 조행후 보트 접으면서 찍어두었던 사진 몇장 올려봅니다. 염라대왕님께 선물받은 원단을 깔고 그위에 보트보자기를 펴고... 그위에서 보트를 해체합니다. 흙바닥에서 작업을 해도 보트나 보자기에 흙 묻을 확류이 현저히 줄어들고 깨끗해지죠. 과거에 고...
  • 혁명선 테스트주행 #2
    ?요즘은 이런저런일들이 많고 생일빵 하느라 바쁘기도 하고 여차저차 홈페이지에 글남기기도 바쁜 상황들의 연속이네요. 며칠전 테스트했던 내용들만 간략히 올려봅니다. 뒷부분에 딩기결합부를 잘못건드렸는지 바람이 새고 있어서 막아주고 어탐거치 브라켓 장착하고 바...
  • 반자동펌프
    곽광균(운칠기삼) 조회 347615.04.27.22:00
    일단 폰으로 올린점 양해바랍니다 오타와 띄워쓰기는 아량으로 넘어가주십시오브라x펌프가 고무보트에 적합하겟지만 그돈이 적은돈이라 생각치는 않습니다.따라서 그와 비슷한 기능의 아이템이 뭐가잇을까 생각중에 타이어 주입기가 눈에 들어 왓습니다.일단 가격대는5만...
  • 풋가이드 브라켓 접기
    고무보트 짐 중에서 제일 거슬리는 것이 있으니 바로 풋가이드브라켓입니다. 위의 사진입니다. 이 놈은 부피를 줄일수가 없어요.. 가방에 넣기에는 너무 넓고 박스에 넣어도 박스가 어지간히 커야하니 불편하고 그래서 다들 그냥 따로 아무데나 싫어서 다니지요. 대충 옆...
  • 견인고리 장착 기....
    차량으로 트레일러를 끌고 다니기 위해서는 견인장치를 차에 장착해야합니다. 과거엔 그냥 막 달고 다녔고, 구조변경 절차도 쉬운편이었다는데 최근들어서는 구조변경 절차가 조금씩 까다로워 진다고 합니다. 20년 승합차운전기사를 은퇴하고 싼타페로 차를 바꾸고나서 ...
  • 소형견인차 면허시행
    ?신설된다는 이야기가 지난해부터 있어왔는데,이미 시행되었더군요.기존과 같이 총중량 750kg미만은 보통운전면허로도 견인가능750kg ~ 3톤 소형견인차 면허로 가능.대략 내용을 봐서는 연수없이 바로 면허취득 도전해도 될듯 싶어보입니다.. . .2016년 7월 28일 신설 소...
  • 트레일러 끌고 하이패스 통과?
    ?트레일러를 끌고 다니게 되면서 고속도로를 올라가면 어떻게 해야되나 하는 궁금증이 생겼고, 이리저리 검색해도 딱 부러지는 답변이 없어서 결국은 고속도로옆에 위치한 사무실에 방문해서 문의해보았습니다. 결론은 아주 간단합니다. 후불제(신용카드) 하이패스카드가...
  • 2사이클 오일 혼합비
    보트에 엔진은 2가지가 있습니다. 선내기와 선외기... 선내기는 어선이나 대형선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선외기는 엔진뚜껑이 뒤에서 봐도 확인이 가능한데 소형보트들은 대부분 선외기가 달려있습니다. 선외기는 다시 2사이클엔진과 4사이클 엔진 두가지로 나눠집니다....
  • 유럽식7핀 하네스 배선도
    트레일러 전기장치와 차량의 전기장치를 연결하는 방법이 유럽식7핀으로 보통 통일되어 있었는데, 트레일러 회사가 제각각으로 만들어버리는 바람에 혼동이 많은 듯 합니다. 트레일러와 차량이 통일되어야 다른 차량에 연결하였을때도 문제가 없을거 같네요. 얼마전 호이...
  • 팽창식 구명조끼 체크
    팽창식구명조끼가 정말 터질까 안터질까? 궁금하기도 합니다. 압축가스가 안터지면 어떻게하느냐... 입으로 불어넣으면 됩니다. 급한데 그럴시간이 어딨냐구요? 허우적 대면서 발버둥 치며 힘빼기보다는 차분히 바람불어넣으면 금방입니다. 그래서 연습이 필요한것이고요...
  • 파라솔 각도조절기
    요즘 유심히 보는 제품입니다. 인터넷 서핑으로만 보다보니 실제가 어떤지 궁금한데요. 여름철 보트에서 파라솔은 정말 정말 중요한 제품이라 할수 있는데, 각도조절기를 이용해 파라솔을 펼치면 파라솔 아래에서 캐스팅이 훨씬 용이한 점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본 제품...
  • 슬라이드 레일, 트레일러 연장봉(?)
    이런걸 전에부터 생각했었는데, 일본에선 실행에 옮겼네요. https://youtu.be/U-temR1bQck https://youtu.be/vlNihARRTwo 일단 보트가 좀 가벼운것들만 가능합니다. 최대 길이 420정도에 무게는 200-300키로 미만에게만... 트레일러가 물에 전혀 안들어가는 것이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