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 내용에 구애없이 자유로운 글들을 주고 받는 게시판입니다.
  •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곧있음 6.25사변일이라 그에관한 좋은 글이있어올려봅니다..

이재진(끝판대장) 3342

0

13
 
미군의 JPAC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실겁니다.
 
“단 한명의 전우도 전장에 남겨두지 않는다”
라는 모토로 전쟁이 끝난지 수십년이 지나도 전세계 오지에 흩어진 미군 전사자를 지구 끝까지 추적해
결국 조국과 가족의 품으로 되돌리는 미군의 유해 발굴부대죠.
 
 
7d3b8c325db116f8c1b324a32a9eb827.gif
 
 
JPAC은 적국인 북한에서도 한구당 5000만원 가량을 지불하면서 미군유해의 발굴을 하고 있습니다.
 
정말 대단한 집념이죠.
 
죽은 뒤까지 책임지는 이러한 사후처리 때문에 미군의 투지가 높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은 유명한 얘기입니다.
 
미국 외에는 전세계 그 어떤 국가도 이러한 부대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일개 육군 중령의 진급도 포기한 십년에 걸친 노력 끝에,
 
대한민국에 세계 2번째로 JPAC과 같은 유해발굴 전문부대가 창설됩니다.
 
 
  
 
바로 MAKRI, 즉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MND Agency for KIA Recovery & Identification)입니다.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 첫 장면 보셨지요? 바로 그 부대입니다.
비전투 특수부대죠.
 
 
원래 2000년도부터 육군에서 추진하던 한시적인 기념 사업이었는데
2006년 국방부로의 창설이 결정되면서 엄청난 지원을 받게 됩니다.
 
 
DSC_0118.jpg
DSC_dd9813.jpg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현충원의 50억짜리 연구소겸 막사에다
 
 
 DSC_0111.jpg
DSC_0109.jpg
 
수십대의 보급차들도 전부 사제 차량입니다.
이렇게 화려한 부대가 또 있을까요?
 
그러나 이만한 지원을 받을만한 가치가 있는 부대란걸 곧 알게될겁니다.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이하 마크리)은 조사과, 발굴과, 감식과, 지원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조사과에서 전쟁지를 조사하면, 발굴과에서 발굴을 하고, 감식과는 DNA감식을 통해 유족을 찾죠. 그리고 나서는 지원과의 영현팀이 국립묘지에 안장합니다.
 
 
 DSC_6288.jpg
 
국방부기 때문에 병사 및 간부는 육, 해, 공군, 특전사 구분이 없고, 모두가 섞여있습니다.
 
 
단 발굴과의 발굴병은 전부 육군인데, 대부분 산악지형의 수색대 등에서 관련전공자를 차출해옵니다.
 
 왜냐면 6.25때 격전지는 전부 산 꼭대기였기 때문입니다.
 
D_(42).jpg
 DSC_0007.jpg
 
 
이들은 개인당 20kg에 달하는 짐을 짊어지고 1000고지 이상의 산들을 하루에 적게는 20km, 많게는 40km씩 이동하며 발굴작업을 진행합니다.
 
개인 짐들이 뭐냐면, 개인 식량과 물은 물론이고 삽이나 호미 트롤 벌목도같은 각종 철제 발굴장비와 GPS, 통신장비, DSLR, 캠코더, 심지어 관까지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호를 식별하기 위한 나무 표지판을 무려 200개씩이나 짊어지고 다니죠.
물론 한사람이 다 짊어지는것은 아니고, 1개 팀 7명이 나누어 짊어집니다.
 
(편제는 특전사와 똑 같아서, 1지역대 2지역대로 나뉘어있고 그 아래 8개의 팀이 있습니다.
팀마다 분대장(팀장)은 상사급 부사관이고, 병사들도 대부분 20대 중반의 조금 연령이 높은 부대죠.)
 
 
 
아무튼 그렇게 한팀이 나누어 짊어지면 개인당 20kg정도가 나옵니다.
 
 
DSC_4716_%BA%B9%BB%E7.jpg
 
아마 이친구들이 전국에서 제일 산을 잘타는 병사들일겁니다.
 
 우리나라 굴지의 산악팀에서 활약하고 있는 산악인중 이 부대 출신이 상당하지요.
 
 
166500_191045604244147_100000161265406_863724_1481514_n.jpg
 
산을 돌아다니며 이렇게 6.25때 군인들이 팠던 개인호를 찾아냅니다.
보통 하루에 300개정도의 개인호를 찾아 굴토를 하죠.
 
물론 7명으로 이뤄진 1개 팀이 한 지역을 맡기 때문에 300개를 다 팔수가 없어서
 해당지역의 부대원들이 지원을 나옵니다.
 
 
 070904~1.JPG
 
교육받고 있는 지원부대 병사들.
사실 저도 36사단에 복무할때 지원 작업을 나간적이 있습니다.
 
지원병들이 각자 호를 파다가 유품이나 뼈가 나오면, 발굴병들의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됩니다.
 
 
DSC_2397.jpgDSC_0060.jpg
 
이 친구들의 삽질 실력을 보면 정말 무식하단 소리밖에 안나옵니다.
 
우리가 하루종일 겨우 파놓은 개인호를 순식간에 수영장만하게 만들고,
심지어 삽 두개와 호미 하나로 사람이 걸어다닐만큼의 토굴을 파낸것을 볼땐 기가 막혔습니다. 
 
이렇게 파다 보면 수류탄이나 고폭탄, 지뢰 등 폭약들이 잔뜩 나오는데,
다행히 지금까지 사고는 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폭발물처리반 EOD와 항상 함께 다니고 생명수당도 매달 별도로 만팔천원 받는다고 하는군요.
 
 
아무튼 뼈 주위로 저렇게 넓게 파고, 우리가 알고 있는 붓질이 시작됩니다.
 
아주 경이롭죠..
 
 
 
 
 
저 입벌리고 있는 전사자 사진을 처음 봤을때 소름이 돋았습니다.
 
정말 이분들 때문에 우리가 지금 이런 호사를 누리고 있는건데
이렇게 이름모를 산야에 아직도 고통스러운 표정과 몸짓으로 묻혀 계시다니..
 
이렇게 뼈만 보면 잘 와닿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유해들 곁에는 항상 유품이 나오지요.
 
 
 
 
그들의 군장류와 스푼, 시계, 반지, 안경, 담뱃대, 수첩, 어머니 사진, 도장, 아직 보내지 못한 편지등..
 
유품들을 보면 비로소 우리와 같은 인생을 살아가던 인간이었다는 것이 실감납니다.
 
 
 
 
 
심지어 버드와이저 맥주캔이나 콜라병, 화장품류도 나옵니다.
아마 미군에게서 지원받았겠지요.
 
 
그리고 유품 뿐이 아닙니다.
유해 근처에는 치열했던 전쟁의 흔적이 아직까지도 남아있습니다.
 
 
바위에 박혀있는 소련제 모신나강트의 소총탄입니다.
 
 
 
다 쏴보지도 못하고 전사해 아직도 황동빛 그대로 남아있는 M1탄박스도 나오지요..
 
 
여러분들은 아름다운 숲과 단풍만 봐서 모르겠지만
그 밑에는 전국 어디나 이렇게 전쟁의 흔적과 순국선열들의 유해들이 묻혀있습니다.
 
 
 
이렇게 유해 한구를 다 발굴하고 나면
 
 
 
실측도 및 사진, 영상촬영등을 하고
(위 사진은 여러구가 겹쳐 묻혀진 것 같아)
 
소관에 안치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소주나 막걸리, 명태포로 약식 노제를 지내지요.
현장에는 대통령 및 장성들이 자주 등장하는데
 
 
계급이 한참 낮은 전사자에게 김관진 국방부 장관도 이렇게 마음을 다해 거수경례를 하는것을 보면 참 멋지죠.
 
 
 
물론 대통령 또한 호국 영령들에게 경의를 다합니다.
 
 
 
다음으로 이제 관에 싸여진 호국영령의 유해는 병사들의 경례를 받으며 산 아래로 모셔집니다.
 
산 아래에는 특수차량 한대가 유해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바로 이 버스인데, 이 버스 안에는 이동식 감식소가 있습니다.
중앙감식소는 서울 한곳인데 발굴지역은 전국의 모든 산야기 때문에 지역별로 저렇게 이동식 감식소가 이동해 대기합니다.
 
 
 
버스 안에는 이렇게 각종 감식장비가 다 있습니다.
 
여기서 유해를 실측하고 아군인지 적군인지, 아군이라면 국적과 성별을 판별합니다.
 
 
그리고 유해 봉송차량에 다시 실리는데,
이 봉송 차량도 굉장합니다.
 
 
 
버스 안에는 대리석으로 짜여진 수납칸에서
다른 산에서 하산하신 호국영령의 전우분들이 기다리고 계시죠.
 
 
 
스타렉스 버전까지 있습니다. 달리는 영안실이랄까..
 
 
 
 
이렇게 비행기로 이송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호국영령의 유해발굴에 있어서는 육해공 한마음으로 협조합니다.
 
 
이 유해들이 중앙감식소에 도착하면
다시 정밀감식과 함께 유전자 시료 채취가 시작됩니다.
 
 
 
 
바로 전사자의 유가족을 찾기 위한 작업입니다.
 
매년 현충일에는 전사자 유가족의 채혈행사가 있습니다. 
 
여기서 채집된 유가족들의 유전자와 유해의 유전자가 일치하면
유해의 가족을 다시 찾게 됨은 물론,
 
 유해의 신원을 알 수 있으니
국립묘지의 비석에 당당히 이름을 새길 수 있게 됩니다.
 
 
 
 
 
신원이 확인되지 못한 유해들은 마크리의 지하 유해보관소에 보관이 되고,
 
유가족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유해들은 영현팀에 의해 국립묘지에 안장됩니다.
 
 
 
 
마크리의 영현팀입니다.
그 해의 전반기 후반기를 나누어 각각 한번씩 이렇게 합동 봉안식을 하고
 
60년만에 드디어 다시 조국의 품으로,
 
국립묘지에 모셔지는것이죠..
 
 
 
 
 
 
 
 
 
 
 
 
 
 
 
 
대한민국을 지킨 영웅들에게 지위 고하, 국적을 막론하고 경의를 표하고 있습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우리가 이 사치스러운 자유를 누릴 수 있는 것은
60년 전 목숨을 다해 싸우다가 전사한 호국영령들의 덕분입니다.
 
 
아직도 수습 못한 국군 유해가 전국의 산야에 13만구나 방치되어 있습니다.
그분들은 아직도 끔찍한 전쟁의 포화속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계신거죠.
 
 
 
 
 
 
 
 이분들을 위해 묵념을…
 
 
 
 그리고, 지금도 어느 높은 산 꼭대기에서 땀을 흘리며 유해 발굴을 하고 있을
마크리 부대원들에게도 격려의 박수를 보냅시다.
 
 
<span style="font-size: 9px; ">(자료출처: 각종 블로그, 뉴스</span><span style="font-size: 9px; "> 및 마크리 사이트)</span><span style="font-size: 9px; "> </span>
 
 
 
 대한민국 특수부대 MAKRI의 구호.
 
<span style="font-size: 18px; ">“그들을 조국의 품으로”</span>
 
 
 
 
세계 두곳밖에 없는 특수부대를 우리가 가졌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갖읍시다.
 
slrclub발췌했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인쇄
13
profile image

우리동네가 6.25때 유명한 곳이었습니다.

왜관전적비, 다부전적비... 

매일같이 지나다니는 곳들입니다.


어릴때 국민학교 다니던 시절에 교육받던것이 "포탄 형태 설명해주며 보이면 접근하지말것" 이었습니다.

강가에가면 대형포탄들을 흔히 봤던거 같습니다.


아직도 산중턱에는 그때 포탄맞아 생긴 바위 깨진흔적들도 보이구요.

유해발굴단...  대단합니다. 

12.06.19. 11:46
김진충(goldworm)

저도 국방부출신입니다...

제가 현역일땐 이런게 없었고 간헐적으로 발생시 차량지원을 나갔었는데....

자료를 보니 체계적인거 같아 좋아보입니다....

계속적인 국가적지원이 필요할거같아보입니다..

 

12.06.19. 11:59
profile image

MAKRI..

새로운 이름을 알게되었습니다.

 

제가 군시절 육군 폭발물 처리반(EOD) 이었습니다.

더욱 더 잘 알고있습니다.

해당부대 병사들을 차출하기도하고~

직접 나와서 산 속을 누비며~ 호를 찾아 발굴하는 장면도 보았고~

각종 유기탄들을 수거해오기도 했습니다.

 

이정도로 체계화적인 줄은 몰랐습니다.

새로 알게되었습니다.

12.06.19. 11:57
이준영(매력남)

저도 첨알았네요...

근데 위험수당 만팔천원....

이건 너무하지 않나 싶네요...

12.06.20. 10:28

챈스 일병의 귀환 이라는 영화가 있는데

미군이 전사했을때 어떻게 하는지 잘 나와 있습니다

 

정말 미국은 군인들에 대한 예우가 특별한데

우리나라는 군인들을 군바리 라며 깍아 내리죠

 

저 분들이 없었으면 현재의 우리나라도 없는데...

 

국가적으로 군인들을 우대하는 정책도 하고

국민들의 인식도 군인들을 고마워하는 마음을 가질수 있도록 변화 되어야 될것입니다

 

챈스일병의 귀환 ...시간되실때 한번씩 보세요

12.06.19. 12:09
profile image

좋은 글 잘봤습니다.

그 분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우리가 이만큼 살고 있다라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근데 요즘 애들은 이런 생각이나 하고 사는지 모르겠네요.....

12.06.19. 16:27
박경민(니나노)

그러게요...

잠시나마 그분들의 희생에대해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으면해서 올려봤습니다..

12.06.20. 10:32
profile image
참 저런 호국영령들을 보며 열심히 살아야 겄다 생가되는데 쉽질 않네요
좋은 자료 보고갑니다
12.06.19. 19:47
이호영(동방)

생각만큼 쉽지않죠,,,

하지만 6.25당일 하루만이라도....

한번쯤 생각하고 지나갔으면 하는 바랩입니다..

12.06.20. 10:33
profile image

 6.25가 얼마남지 않은 시점에서 가슴이 뭉클해지는 글이였습니다.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12.06.20. 09:42

유해 발굴단 침 뜻깊은 일입니다.

항일 운동하셨던 분들까지도 확장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12.06.20. 12:20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주간 조회 수 인기글

주간 추천 수 인기글

조회 수 (낮은순)
  • 안녕하세요. 어제 집에 잠시 다녀와서 보고 왔네요. 궁금해 하시는 하빈지 상황 입니다. 사진이 없어 아쉽지만...^^ 하빈지 절반을 딱 잘라서.. 아니.. 금수식당 -- 절집 라인을 그려 뚝쪽으론 얼음이 녹았습니다. 반...
  • 저도 드디어 아빠가 되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또라에몽입니다... 그동안 집사람의 출산 예정 관게로 낚시다운 낚시는 포기하고 있다가 드디어 얼마전 이쁜 공주님을 얻었습니다! 지난 금요일인 1월 22일 저녁 08시 경에 3.7kg 의 건강한 모습으로 ...
  • 부부배스님과 금호2교 아래 웨이딩
    아침에 눈떠서 보고 비오면 자동 취소라고 적어두었는데... 일어나서 밖을 나가보니 비가 오네요... 일찍 일어난 걸음에 집사람 일하는 곳에 태워주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도 비는 그칠 줄을 모릅니다. 혹시나 지나...
  • 업무중 땡땡이~
    문창섭(은빛연어) 조회 593912.04.27.16:15
    아... 낚시인들의 꿈인 금요일... 우울한 전보를 받았습니다. 내일 부터 한 달간 전략 TF 회의를 매주 토요일 한답니다. (그럼 도대체 몇 안되는 조행은 언제 가라는건지... ) 뭐... 인생 다 그렇고 그런거지만... 너...
  • 원터치 어탐기 센서
    요즘 어탐기 센서 다이 이런방법 저런방법 다좋더군요 아래글 박정태님의 방법도 좋더군요 저는 제보트에 이방법 저에게는 편하더군요 보트 트렌섬 뒤에 브라켓달고 그냥 끼우면됩니다. 주행중에도 어탐기 수심보면서...
  • 쥔장 김진충(goldworm) 조회 594313.08.29.17:55
    일시 . 잠시뒤 저녁 아홉시. 28일 장소 . 구미 순천향병원 길건너 우리병원 상가 속에 대구식당. 삼광님 저원님 골드웜 스타님 머슴님 등등 참석예정
  • 김외환(유천) 조회 594913.11.01.06:12
    포항권 무늬시즌 끝난 건가요? 밤새 달려 왔는데 낚시 하는 사람이 전혀? 횡 합니다 뭘 하고 가야 할지 감감 하기만 하네요 오늘도 좋은날들 되시길 바랍니다
  • 겨울바다....
    송재일(배스낭군) 조회 595710.02.08.01:33
    꽁치잡고 돌아오는길에..신창해수욕장? 잘기억이 안나네요 ..큰일입니다.하하하 여름날에는 사람들루 북적 대겟죠? 우리 배스낭자랑...자리잡고앉자서 수다뜰다가..점점진지하게 대화가 오고가서.. 슬며시 자리일어나...
  • 가까이에있는 내놀이터
    집에서 도보로 약 십여분거리에 이런 멋진 놀이터가 있습니다 짬시간이 나면 부담없이 주머니에 스픈 몇개넣어가지고 나가지요 보밑 에는 종합선물셋트입니다 배스는 물론이고 쏘가리 .메기 .꺽지 .강준치 .끄리.누치...
  • 이이권(판도라) 조회 596113.09.15.13:52
    면허 합격했습니다. 날짜 안맞아서 영덕에서 땄는데. 치신분들 중에 90%가 1급입니다. 2급은 자를 포함해서 여자 두세명.. 여기 시험치신분의 반이상이 여름 바나나보트 사업 준비하시는분.. 역시 여름에 보트사업 준...
  • 서화천 강고기 낚시
    장인진(재키) 조회 596211.08.07.09:07
    루어낚시가 아니라서 그냥게시판에 사진 한장만 올려봅니다. 어제 어머니와 함께 서화천으로 강고기낚시를 다녀왔습니다. 각종 강고기 낚아서 수제비 매운탕, 강고기 양념튀김 만들어 먹으며 뜨거운 여름날의 하루를 ...
  • 일단은 좋은 가을에 노래 한곡 들으시지요... 토요일은 검단동 민들레아파트 앞(정문 입구) 주차장에서 7시에 만나서 정오까지 금호 2교 부근에서 웨이딩을 하고 근처에서 점심을 먹을까 합니다. 현재 부부배스님, 인...
  • 주말 바람, 바람, 바람
    주말이면 어김 없이 바람이 장난 아니네요. 주말에 오십천으로 플라이 낚시 가기로 한거도 북한의 김정은 땜시 비상대기 걸려서 못가고 가까운데로 가려해도 바람이..... 주말에 안동에 시합있다는데, 악조건에서도 ...
  • 생미끼와 루어의 대결
    낚시미끼 조회 596610.05.23.02:09
    어제 오후에는 저원님의 전화를 받고, 5시가 넘어 찾아 간 곳은 가까운 신동지 중류 버드나무 포인트. 도착하자 마자 해가 지기 시작하는 피딩타임에 20센티급의 배스가 입질을 합니다. 저원님도 미끼를 이것저것 교...
  • 간단한 영천 조행기
    배대열(끈기) 조회 596912.09.11.10:54
    정말 오랜만에 조행기로 인사를 드립니다. 뭐가 그리 바쁜지.. 이제 100일 갓 지난 둘째 덕에 다시금 행복의 시간 속에 허우적 거리지만 덕분에 주말 낚시며 포스팅이며 쉽지가 않네요. 자주 찾아뵙지 못해서 죄송합...
  • 생존신고..2013첫배스
    안녕하십니까? 현혜사랑입니다. 오랜만에 들어오니 역시나 반갑군요. 작년엔 "내년엔 열심히 다닐수 있을거야 좀만 참아"라며 스스로 위안을 했던 기억이 있는데, 왠걸 상황이 나아지지 않네요. 어제 보문님 뵙고... ...
  • 안녕하세요 쓰레빠입니다. 이번주 졸업식하고나서 창녕 집에 내려가서 토요일날 워킹으로 낚시좀해보려고하는데 같이하실분 계실랑가 싶어서 글남겨봅니다 유곡천 여배교 낙동강 둠벙 기타등등 몇군데 혼자 돌려고하...
  • 김세진(제스피) 조회 598312.11.05.22:30
    오후2시부터 5시까지 번개늪보팅 갔다왔습니다. 현재 수면에 수초는 거의 없는 상태이나 완전히 바닥에 가라앉지는 않고 하드베이트 감다 보면 자주 걸려나오는 상황입니다. 스피너베이트나 바이브로 중간정도 띄워서...
  • 양맹철(무드셀라) 조회 598410.09.11.10:33
    오늘과 내일 전국에 폭우와 번개가 동반하여 지구를 한바탕 청소를 한다고 합니다 낚시를 되도록이면 자제하시고 집에서 마일러지를 저축을 하시는게 우리들 신상에 좋을것 같습니다 빨래도 하시고 아이들 귀저기도 ...
  • 준비됐나?
    김창용(더블테일) 조회 598412.05.01.19:04
    (지난 이야기#1)앞으로 무슨일이 일어날지....? 명주실을 준비 안돌리기 매듭법으로 올가미를 만들고 .. 목표물이 어디있는지 확인하고, (이때까지 절대적으로 안심시킨다) 잠시뒤 일어날 일은 아무것도 모른 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