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어탐기의 기본적인 세팅과 활용면에서의 참조글

신영석(흐르는강물처럼) 신영석(흐르는강물처럼) 17786

0

9

어탐기를 하나 장만하고 나서 사무실에서 심심해서 외국싸이트를 뒤지다가 찾은 글들인데, 저같은 초보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올려봅니다. www.bassresource.com 에서 발췌했습니다.

 

어탐기의 기본적 세팅 방법 

2. Set the sensitivity control between 75 and 100 percent.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trol to set correctly.

민감도 조절을 75-100% 사이에서 세팅하십시요. 이는 정확히 세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작입니다.

3. Adjust the gray line to between 6 to 12 percent or turn it off entirely.

흑백 조정은 6-12%사이에서 맞추시거나, 또는 완전히 기능을 끄십시요.

4. Increase the chart speed to as fast as it will go according to the speed of your boat. Use a faster chart speed when the boat is moving slower and a slower chart speed when the boat is moving faster.

챠트스피드(화면 넘어가는 속도)를 보트의 속도에 따라 맞추십시요.

보트가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면 보다 빠른 챠트스피드를 사용하고, 보트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면 다소 느린 챠트스피드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5. Turn off the suppressor feature. The suppressor is designed to reduce noise interference; setting it too high will block out the signal entirely. If you mounted the transducer correctly, you should not have to use the suppressor.

혼신방지 기능을 끄십시요.

혼신방지 기능은 노이즈 간섭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너무 높을 경우 신호를 완전히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트랜듀서를 장착하였다면 혼신방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탐기 구입에 대한 조언들

"Make sure you purchase a powerful unit. The good units have at least 3,000 watts. The more power the unit has, the faster the reading will be and the more accurate it will be."

파워풀한 장비를 구입하기를 바랍니다. 좋은 장비들은 적어도 3000와트의 출력을 가집니다. 더 많은 파워를 가진다면, 더 빠르게 읽으며, 보다 정확할 것입니다. - 게리 도빈스


Sonar Beam Coverage Area

소나빔의 커버 면적  

Below is a quick reference chart for the area covered by the specific cone angle listed. For example, if you are fishing in 10 feet of water and the cone angle on your transducer is 20 degrees, the area across the bottom is 3.5 feet.

아래는 특별한 콘 각도에 따른 간단 대조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10피트(3미터) 깊이에서 낚시중이면, 당신의 트랜듀서에 달린 콘 각도가 20도라면. 바닥을 읽는 면적은 3.5피트(1미터)입니다. 

20 degrees - 0.35 or roughly 1/3 of depth 

24 degrees - 0.42 or roughly 2/5 of depth 

30 degrees - 0.53 or roughly 1/2 of depth

40 degrees - 0.72 or roughly 3/4 of depth

50 degrees - 0.93 or roughly 9/10 of depth

60 degrees - 1.15 x depth

70 degrees - 1.4 x depth

73 degrees - 1.48 x depth

80 degrees - 1.68 x depth

90 degrees - 2 x depth

100 degrees - 2.38 x depth

110 degrees - 2.85 x depth

제공되는 어탐센서 콘 각도에 따른 바닥을 읽는 넓이입니다. 자신의 제품 스펙에 보시면 센서의 헤르쯔와 각도를 알 수 있습니다.

제 로렌스 마크5X-pro의 콘 각도는 83/200 kHz, 20/60 degree Skimmer transducer w/temp입니다.  고로 수심에 따라 0.35/1.15를 곱하면 바닥을 읽는 면적을 대충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낚시를 하면서 대충 낚시를 하고 있는 아래 바닥의 어느 정도를 어탐으로 훑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Lots of people think all fish show up as an arch on the screen, but in reality, largemouths appear many times with just a straight line."

많은 사람들이 스크린에 모든 물고기들이 아치 모양으로 보여질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라지마우스배스는 그냥 곧은 라인 정도로만 자주 나타납니다. 


Carp are short, fat marks that swim slower than other fish, and have a great deal of gray line associated with them. Stripers appear as long dotted lines, with much more movement, and largemouths appear as straight lines, maybe dots, or scratches."

잉어는 짧고 굵게 표현되며 다른 고기들보다 느리게 헤엄칩니다. 또한 짙은 그레이 라인과 연관이 많습니다. 스트라이프배스는 긴 점으로 된 라인으로 나타나며, 많은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라지마우스배스는 곧은 라인으로 나타나며, 점일 수도, 또는 스크래치로 나타납니다.


"Baitfish will show up in gray line, in circles, and are usually being herded by other fish, or are coming up to the surface. Baitfish in the ocean move in circles as well."

베이트피시는 회색 라인으로 보이거나, 원형으로 보여질 겁니다. 베이트피시는 보통 다른 물고기들과 무리지어 다니거나, 또는 수표층까지 향해 올라가는 형상을 띱니다. 대양에서의 베이트피시는 물론 원형으로 움직입니다.

 

어탐기의 활용은 사실 사용자가 자기가 사용하는 제품을 실제 필드에서 사용해보면서 실제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등의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건투를 빕니다.

 

앞으로도 좋은 자료가 될만한 것들을 발견하는대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공유스크랩
9
profile image
황우식(매로치)

많은 내용이 없어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습니다?  

올해도 어복 충만하시길...

11.02.09. 12:59

그렇지 않아도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정보수집중인데

고마운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장성갈 날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11.02.09. 12:50
profile image
구도형(지성아빠)

장성이라... 벌써부터 마음이 설레입니다.

좋으시겠어요? 어탐을 지르셨으니~! 

 

이번주 토요일엔 부부배스님의 텃밭에 나가볼까 합니다. 금호강 하류쪽으로는 크게 재미가 없는 듯 합니다...  

토요일 전에 부부배스님께 전화나 넣어봐야겠습니다.  

11.02.09. 13:01
profile image
김종민(돌아온달마)

다행입니다.

실제로 어탐기를 사용하면서 여기 저기 뒤져보지만 실제 상황에 따른 어탐에서의 표현이 어떤지를 상세하게 설명된 곳을 제대로 찾지를 못했습니다.

 

올 한해 어복 충만하시기 바랍니다...

11.02.10. 09:43

이젠 번역일도 하시는군요...잘 읽었습니다..

유용한 정보입니다.....한가지 걸리는게 있다면...결국은 돈이 문제라는거

정보에 대한 보답은 나중에..5짜 염장 포토메일로 보답하겠습니다.

11.02.21. 15:15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주간 조회 수 인기글

주간 추천 수 인기글

추천 수 (높은순)
  • ?루어낚시에 입문하고 나면 대부분 아래의 순서를 따라가게 됩니다. 도보낚시 스피닝태클 혹은 베이트태클 하나로 시작하였다가 점점 낚시대와 릴의 갯수가 늘어납니다. 루어들도 처음엔 조그만 가방에 담아놨다가 점점 가방이 커지고, 나중엔 집에 창고를 만드는 상황까...
  • 보팅용 루어회수기 머리만들기
    ?보팅용 회수기.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거 써보면 루어회사 다 굶어주겠다는 소리를 자주 하는데... 가뜩이나 보팅에선 루어 밑걸림확률이 낮은데 이거까지 쓰면 자기루어 건져내는것은 물론이고 덤으로 새끼치는(??) 경우까지 자주 생깁니다. 6미리 스텐파이프를 ...
  • 기어오일교체 & 무선풋 나사조으기
    ?먼저 무선풋가이드 나사조으는 이야기부터 시작해보겠습니다. 모터가이드 무선풋 45파운드짜리... 많이들 쓰고 계실겁니다. 지난해 안쪽에 기어가 나가서 도도님께 수리를 맡기기 전에 혼자서 뜯어보려고 시도를 해봤었죠. 그때 알게된 사실인데 양옆 커버에 나사 2개씩...
  • 보트의자 유압봉 교체하기.
    주로 의자에 앉아 풋가이드를 조정하는데 의자 안장높이가 너무 낮아 풋스위치를 운용하기 너무 어려웠습니다. 불편한대로 계속 썼었죠.. 좀 아시는분은 유압봉사서 뚝딱 교체하셨겠지만... 저 같은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하여 자세하게 올려봅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 ...
  • 씨울프 구명조끼 사용법
    혹시 터뜨리는 분이 있지않을까 하고 걱정이 되었는데,믿었던 염라대왕님이 터뜨렸다고 보고 해주셨네요. 그래서 간략히 설명을 올려드립니다. 1. 실린더를 항상 먼저 빼고 마지막에 결합합니다. 터지는걸 방지하기 위함이고요. 나사돌리듯 돌리면 빠집니다.2. 실린더 빼...
  • 네이버를 검색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글입니다.이렇게 퍼와도 되는지 모르겠습니다.원문링크 바로가기 보팅은 생각보다 위험요소가 많은 레저 활동이다 보트를 소유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것 중 하나는 경험이다 보팅은 많은 안전장치를 갖추어야 시작할 수 있다 위험...
  • 고무보트 엔진세척과 접기 그리고 ...
    주연 : 골드웜 ※ 엔진 천번이상 접었음. 고기잡는건 자랑못해도 보트 잘접고 펴기로 소문남촬영 : 라이트닝님 ※ 특징 : 막 찍음, 사진골라내는데 애로사항 많음 바다보팅후에 엔진세척 및 보트접는 과정을 나열해봅니다.일단 과거 게시물 하나 링크 걸어봅니다. ** SEBAS...
  • 고무보트 빵꾸떼우기
    ?제 보트 안쪽에 물이 아주 조금씩 스며들고 있었습니다. 하루종일 보팅해도 종이컵 반컵 정도 양이라서 그냥 닦고 말고 했는데, 이번엔 어디서 찍혔는지 물이 제법 많이 들어오네요. 그래서 엊그제 보팅후에 바닥판만 제거하고 다시 튜브에 바람넣어 물위에 띄우고 면밀...
  • 벙커 도마 작업
    goldworm 쥔장 goldworm 조회 27820.10.14.18:11 1
    트레일러위에 보트가 얹혀질때 벙커라는 두개의 나무위에 고정이 됩니다. 이 벙커위에는 카페트가 깔려있고요. 카페트가 더 해지고 떨어지기 시작해서 어떻게 할까 생각하다가 다들 하는 도마작업을 해봤습니다. 도마 라는것이 말그대로 부엌에 쓰는 도마... PE 플라스틱...
  • goldworm 쥔장 goldworm 조회 27724.02.01.15:57 1
    보트낚시에서 필수적인것이 가이드모터입니다. 얼마전까지만 하더라도 와이어타입 풋컨트롤 가이드모터가 주류였으나 어느순간 GPS앵커링 방식의 전동모터위주로 완전히 판도가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거기다 올리고 내리고가 자동으로 되는 울테라 라는 제품이 나오면서 ...
  • 도하츠 25마력 레귤레이터 (충전전압 16.7볼트 에러)
    새로 온 보트에 달린 엔진은 도하츠 25마력 롱~ 엔진입니다. 볼트게이지에 볼트가 엔진 알피엠을 올리면 16.7볼트까지 올라가길래 문제가 있겠다 싶어서 여기저기 질문을 해보고 알아봤습니다. 일단 수입총판 에스텍마린에서는 레귤레이터가 없는 모델일건데? 그래서 그...
  • dk에서 제작한 영상이네요. 제가 쓰는 트레일러이기도 합니다. 축 전체가 도는줄 알았더니 축은 고정이고 그위에 저런식으로 조립된줄 처음 알았습니다. 영상 끝까지 보시면 구조가 대충 보입니다. https://youtu.be/O1yqg03L4YA?si=gfFfbyRBkOPf1QII
  • 어탐기 센서 고정브라켓 자작
    처음으로 글 올립니다. 골드디오G2 구입하고 5회 미만 사용했네여... 앞으로 첼리전 게임을 뛸 생각으로 필요한 장비 어탐기를 구비 해 놨는데..어탐기 센서 장착이 난감하여 한번 자작해봤습니다. 흔히들 가이드모터에다가 장착을 하는데... 배선이 거슬려 PVC파이프와 ...
  • inflatable Kayak-sterns (spree one)
    이번에 장만한 카약입니다. 인플레터블 카약이라고도 하고 국내에선 더키라고도 하대요. 즉, 고무카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바닥은 3단레이어 원단으로 되어있고 상단은 벨리처럼 튜브외부를 천으로 감싸있습니다. 바닥내부는 에어매트가 깔려있습니다. 노는 별...
  • 밸리보트용 더블로드홀더 (로드 거치대)
    PVC 파이프로 자작하는 밸리보트용 더블로드홀더입니다. 골드웜네에 밸리보트가 많이 보급됨에 따라 필요할 것 같아서 올려드립니다. 먼저 장착예입니다. 그냥 적당한 곳에 벨크로(찍찍이)로 묶어주면 끝입니다. 벨크로는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기능별 사이즈별 여러종류...
  • 제노보GP80D 에어펌프
    김경훈(mama) 조회 1275410.04.08.20:22
    일전에 대청호 어부동에서 배를 펴다가 쌍방울브라보 펌프에 호스가 찢어져 옆에서 배펴시던 조사님께 터보 펌프를 빌리게되었죠.감동 받았습니다 엄청 빨리 주입되더군요. 전 브라보 터보를 자세히 본적이 없어서 혹시 이게 신형 브라보인가 생각을 했습니다.액정이 달...
  • 제가 만든 밸리용 로드홀더도 올려봅니다
    날로먹은 밸리용 로드홀더입니다. 예전에 밸리보팅 동영상을 봤는데 보팅하시는 분이 캐스팅을 하니 그 끝에 낚시대가 걸려 같이 날아가버라구요 게다가 제가 베이트 케스팅할때 많이 후리는? 암튼 거시기해서 최대한 걸리지 않게 만들어봤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걸리...
  • 양계현(어사랑) 조회 881210.04.20.15:11
    처음 보트 장만하여 운용할 때 만들었던 보트 보관 및 운용 메뉴얼입니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빌라로 이사하게 되어 가지고 있던 보트를 처분하니 볼 기회가 많지 않아 버릴까 하다가 보팅 처음 시작하시는 분를에게 도움이 돼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올려봅니다. 특히 내...
  • 로랜스 사이드이미지 어탐 개봉기
    어버이 날을 맞이해서 연우가 연우아빠에게 조그마한 선물을 했습니다. 뭐! 그렇다고 연우 명의로 된 펀드통장이나 연우 저금통을 깨서 연우아빠에게 선물한 건 아니고요! 어차피 연우아빠가 쓰고 남은 돈은 연우에게 고스란히 가게 되어 있으니...연우가 연우아빠한테 ...
  • 브라보9r고압 풋펌프
    안녕하세요. 항상 눈팅만 하다 도움이 될까 싶어 제가 사용하는 용품하나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요즘 보팅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 지시는듯 합니다. 보트 종류도 다양해지구요. 그래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게 고무보트이겠죠. 저도 처음에 그랬지만 역시나 초보에게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