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어탐기의 기본적인 세팅과 활용면에서의 참조글

신영석(흐르는강물처럼) 신영석(흐르는강물처럼) 17780

0

9

어탐기를 하나 장만하고 나서 사무실에서 심심해서 외국싸이트를 뒤지다가 찾은 글들인데, 저같은 초보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올려봅니다. www.bassresource.com 에서 발췌했습니다.

 

어탐기의 기본적 세팅 방법 

2. Set the sensitivity control between 75 and 100 percent. This is the most important control to set correctly.

민감도 조절을 75-100% 사이에서 세팅하십시요. 이는 정확히 세팅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작입니다.

3. Adjust the gray line to between 6 to 12 percent or turn it off entirely.

흑백 조정은 6-12%사이에서 맞추시거나, 또는 완전히 기능을 끄십시요.

4. Increase the chart speed to as fast as it will go according to the speed of your boat. Use a faster chart speed when the boat is moving slower and a slower chart speed when the boat is moving faster.

챠트스피드(화면 넘어가는 속도)를 보트의 속도에 따라 맞추십시요.

보트가 느리게 움직이고 있다면 보다 빠른 챠트스피드를 사용하고, 보트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면 다소 느린 챠트스피드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5. Turn off the suppressor feature. The suppressor is designed to reduce noise interference; setting it too high will block out the signal entirely. If you mounted the transducer correctly, you should not have to use the suppressor.

혼신방지 기능을 끄십시요.

혼신방지 기능은 노이즈 간섭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너무 높을 경우 신호를 완전히 막아버릴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 트랜듀서를 장착하였다면 혼신방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탐기 구입에 대한 조언들

"Make sure you purchase a powerful unit. The good units have at least 3,000 watts. The more power the unit has, the faster the reading will be and the more accurate it will be."

파워풀한 장비를 구입하기를 바랍니다. 좋은 장비들은 적어도 3000와트의 출력을 가집니다. 더 많은 파워를 가진다면, 더 빠르게 읽으며, 보다 정확할 것입니다. - 게리 도빈스


Sonar Beam Coverage Area

소나빔의 커버 면적  

Below is a quick reference chart for the area covered by the specific cone angle listed. For example, if you are fishing in 10 feet of water and the cone angle on your transducer is 20 degrees, the area across the bottom is 3.5 feet.

아래는 특별한 콘 각도에 따른 간단 대조표입니다. 예를 들어서 당신이 10피트(3미터) 깊이에서 낚시중이면, 당신의 트랜듀서에 달린 콘 각도가 20도라면. 바닥을 읽는 면적은 3.5피트(1미터)입니다. 

20 degrees - 0.35 or roughly 1/3 of depth 

24 degrees - 0.42 or roughly 2/5 of depth 

30 degrees - 0.53 or roughly 1/2 of depth

40 degrees - 0.72 or roughly 3/4 of depth

50 degrees - 0.93 or roughly 9/10 of depth

60 degrees - 1.15 x depth

70 degrees - 1.4 x depth

73 degrees - 1.48 x depth

80 degrees - 1.68 x depth

90 degrees - 2 x depth

100 degrees - 2.38 x depth

110 degrees - 2.85 x depth

제공되는 어탐센서 콘 각도에 따른 바닥을 읽는 넓이입니다. 자신의 제품 스펙에 보시면 센서의 헤르쯔와 각도를 알 수 있습니다.

제 로렌스 마크5X-pro의 콘 각도는 83/200 kHz, 20/60 degree Skimmer transducer w/temp입니다.  고로 수심에 따라 0.35/1.15를 곱하면 바닥을 읽는 면적을 대충 아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낚시를 하면서 대충 낚시를 하고 있는 아래 바닥의 어느 정도를 어탐으로 훑고 있는지 감을 잡을 수 있을 겁니다. 


Lots of people think all fish show up as an arch on the screen, but in reality, largemouths appear many times with just a straight line."

많은 사람들이 스크린에 모든 물고기들이 아치 모양으로 보여질거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라지마우스배스는 그냥 곧은 라인 정도로만 자주 나타납니다. 


Carp are short, fat marks that swim slower than other fish, and have a great deal of gray line associated with them. Stripers appear as long dotted lines, with much more movement, and largemouths appear as straight lines, maybe dots, or scratches."

잉어는 짧고 굵게 표현되며 다른 고기들보다 느리게 헤엄칩니다. 또한 짙은 그레이 라인과 연관이 많습니다. 스트라이프배스는 긴 점으로 된 라인으로 나타나며, 많은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라지마우스배스는 곧은 라인으로 나타나며, 점일 수도, 또는 스크래치로 나타납니다.


"Baitfish will show up in gray line, in circles, and are usually being herded by other fish, or are coming up to the surface. Baitfish in the ocean move in circles as well."

베이트피시는 회색 라인으로 보이거나, 원형으로 보여질 겁니다. 베이트피시는 보통 다른 물고기들과 무리지어 다니거나, 또는 수표층까지 향해 올라가는 형상을 띱니다. 대양에서의 베이트피시는 물론 원형으로 움직입니다.

 

어탐기의 활용은 사실 사용자가 자기가 사용하는 제품을 실제 필드에서 사용해보면서 실제 주어진 상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등의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건투를 빕니다.

 

앞으로도 좋은 자료가 될만한 것들을 발견하는대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무쪼록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공유스크랩
9
profile image
황우식(매로치)

많은 내용이 없어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습니다?  

올해도 어복 충만하시길...

11.02.09. 12:59

그렇지 않아도 여기저기 기웃거리며 정보수집중인데

고마운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장성갈 날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11.02.09. 12:50
profile image
구도형(지성아빠)

장성이라... 벌써부터 마음이 설레입니다.

좋으시겠어요? 어탐을 지르셨으니~! 

 

이번주 토요일엔 부부배스님의 텃밭에 나가볼까 합니다. 금호강 하류쪽으로는 크게 재미가 없는 듯 합니다...  

토요일 전에 부부배스님께 전화나 넣어봐야겠습니다.  

11.02.09. 13:01
profile image
김종민(돌아온달마)

다행입니다.

실제로 어탐기를 사용하면서 여기 저기 뒤져보지만 실제 상황에 따른 어탐에서의 표현이 어떤지를 상세하게 설명된 곳을 제대로 찾지를 못했습니다.

 

올 한해 어복 충만하시기 바랍니다...

11.02.10. 09:43

이젠 번역일도 하시는군요...잘 읽었습니다..

유용한 정보입니다.....한가지 걸리는게 있다면...결국은 돈이 문제라는거

정보에 대한 보답은 나중에..5짜 염장 포토메일로 보답하겠습니다.

11.02.21. 15:15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주간 조회 수 인기글

주간 추천 수 인기글

  • 핸드가이드 개조 마지막 발판스위치 수정본
    겨우네 저녁마다 심심하여 스위치나 편하게 개조해볼까싶어주물럭거리다가 마침내 완성햇습니다이전것보다 만들기가 한결 수월해졌습니다 작동도 이전 스위치보다 편한것같고 모양이며 외관도 훨씬 좋아진것 같습니다 제생각이긴 하지만요
  • 도하츠9.8 점화플러그
    ?도하츠9.8엔진을 구매하고 사용한지가 만3.5년이 지났더군요.여태 점화플러그를 예비로 갖춰놓고 갈아보려고 생각만하다가올 겨울들어 교체를 시도해보았습니다.엔진뚜껑열고 해보면 그리 어려울것은 없구요.필요한것은 엔진구입할때 따라온 수리공구...작업순서는 점화...
  • 프로 컨트롤(pro controll)  개조기 입니다.
    미루든 프로컨트롤 개조기 올립니다.. 쪽지주시고.. 문의 주신분들께 넘 늦게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해체했어 사진찍고 다시 조립하기가 번거로워 미루다가 .. 마침 흐르는 강물님이 프로컨트롤 구입.. 개조 요청으로 작업하게 되어 이렇게 개조기 올리게 되었습니다....
  • 농어보팅에 필요한 소품들
    동해 바다루어낚시를 즐기면서 꼭 필요한 소품들이 어느정도 정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소품들을 아래와 같이 열거해보고자 합니다. 보트의 사양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제가 타는 보트(골드디오G3+9.8마력)에 최적화된 사양입니다. 1. 뜰채 지난번에 짧게...
  • 보트의자 유압봉 교체하기.
    주로 의자에 앉아 풋가이드를 조정하는데 의자 안장높이가 너무 낮아 풋스위치를 운용하기 너무 어려웠습니다. 불편한대로 계속 썼었죠.. 좀 아시는분은 유압봉사서 뚝딱 교체하셨겠지만... 저 같은 분들도 계시리라 생각하여 자세하게 올려봅니다. 아래 사진의 오른쪽 ...
  • 저같은 초보분들에게 아무쪼록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년 전에 공부한거라... 고수분들은 가볍게 패스~! How To Use a Fish Finder(어탐기의 활용) Fish Finder Settings(세팅) Depth scale(수심의 표시) The default ...
  • 밸리보트 튜닝 (DRF-145H)
    얼마전 영입한 DRF-145H 밸리보트를 튜닝한 전체적인 모습은 이렇습니다.기본 구성품에 어탐과 로드홀더를 달고 안전벨트를 추가하였습니다.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입니다.어탐이 안쪽으로 기울어진 것은 노 저을때 간섭을 줄이려고 한 것인데밸리에 앉았을때 화면이 제...
  • [모터가이드] 풋가이드 샤프트 길이를 늘리자~!!
    요즘 할일이 별로 없어져서.. 뻘짓으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는 머슴입니다. 일전.. 좀 큰 고무보트를 마련하게 되어 기존 풋가이드의 샤프트 길이가 너무 짧아 수면위에 부상을 하시니.. 어떻게 할까를 고민하다 돈 주고 사자니.. 부담스럽고해서 '기존의 것을 길게 바...
  • 어탐기를 하나 장만하고 나서 사무실에서 심심해서 외국싸이트를 뒤지다가 찾은 글들인데, 저같은 초보분들에게 도움이 될까 싶어서 올려봅니다. www.bassresource.com 에서 발췌했습니다. 어탐기의 기본적 세팅 방법 2. Set the sensitivity control between 75 and 100...
  • 공구 딩기 베어링 교환기
    안녕하세요~~ 이번에 골드웜에서 보트를 중고로 구하였습니다. 보팅용품중에 골드웜에서 공구한 딩기돌이가 있어 몇번 출조후 베어링이 좀 이상한거 같아서 점검 및 교환기를 올립렵니다. 혹시 공구딩기 가지고 계신분들중에 베어링 이상있으시면 이런식으로 교환하면 되...
  • 어탐기 센서거치대 자작?
    오디오맨님의 방식을 기반으로 센서거치대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0.1ton님의 지원으로 스텐파이프 2센티 사각으로 얻고, 볼트/너트/와샤 등도 얻었습니다. 대곡까지 받으러 갔네요... 덕분에 준썬님 얼굴도 한번 뵙고... 지난 토요일 아침에 일어나 감기로 낚시는 접고, ...
  • [어탐] 로렌스 Mark-5X Pro 개봉기
    어제 도도님께 부탁을 드리고 늦어도 내일(즉 오늘) 발송이 가능하도록 처리해주시겠다 하셔서 과연 오늘 올까? 아니며 오늘 발송되어 내일에야 받을 수 있을까? 혼자 열심히 고민고민을 했더랍니다. 택배 받을곳을 집으로 해둔 탓에 출근해서도 오늘 올까? 오면 집에 아...
  • 프로컨트롤 사용기
    제가 올리는 리뷰나 후기는 지극히 골드웜의 개인적이며 주관적인 판단에 기초한 것입니다. 이 리뷰를 읽고 판단하는것은 읽는분의 몫이지만, 그 판단에 제가 책임질수 없음을 미리 밝힙니다. 어제 새벽에 보트에 부착해보려 했으나 단자 작업때문에 하루를 늦추고 오늘....
  • 프로컨트롤 개봉기
    몇달전엔가 2%님이 소개해주신적이 있었던 프로컨트롤 이라는 제품을 오늘 받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수입하는것이 거의 불가능 하다 시피 했는데, 서울에 정상보트 사장님께서 직접 나서 주셔서 10개정도 수입해 들여왔다고 합니다. 아마도 제가 가장 먼저 개봉해본 ...
  • 스마트폰용 전자해도
    갤럭시S 폰을 구입하고서 이것 저것 꼼지락 거려보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이것은 참말로 요물이더군요. 앞으로 생활에 많은 부분과 밀접하게 엮여 갈거 같습니다. 뭐 없어도 사는데 지장은 없겠지만, 있으면 훨씬 편리하다고 할수 있겠죠. 제가 쓰는 갤럭시S의 첫 화면입...
  • 도도의 보팅이야기 #1
    참으로 사고가 많은 곳이 바다 입니다. 이런 이유에서 그동안 느낀점과 이런저런 생각으로 조금이나마 안전에 도움이 될까 해서 몇자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수면과 공기중의 심한 기온차로 인해 발생하는 해무(안개)로 충돌 목숨을 잃기도 하고.. 또 안전운행을 무시해서...
  • 밸리보트에 소나(어탐기) 설치하기
    소나를 설치한 재키의 밸리보트를 정면에서 보면 이런모습입니다. 저는 오른손잡이라서 캐스팅 및 루어의 액션시 간섭을 줄이려고 왼쪽에 달았습니다. 45도 각도에서 보았을때.. 전선은 필드테스트후에 정리하려고 아직은 흩어져있는 상태입니다. 어지럽게 흩어진 전선이...
  • SOD트레일러 허브베어링
    SOD 트레일러 운영중이신 회원님께 허브베어링 교체에 대한 정보 하나 알려드립니다. 뭐 대단한 그런 정보는 아니구요! 나중에 허브베어링 정비하실적에 필요한 부품 품번 정도입니다. 그냥 참조만 하시면 될 듯 합니다. 베어링(小) L44610 / L44649 베어링(大) L68111 /...
  • 브라보9r고압 풋펌프
    안녕하세요. 항상 눈팅만 하다 도움이 될까 싶어 제가 사용하는 용품하나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요즘 보팅하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 지시는듯 합니다. 보트 종류도 다양해지구요. 그래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게 고무보트이겠죠. 저도 처음에 그랬지만 역시나 초보에게 난...
  • 로랜스 사이드이미지 어탐 개봉기
    어버이 날을 맞이해서 연우가 연우아빠에게 조그마한 선물을 했습니다. 뭐! 그렇다고 연우 명의로 된 펀드통장이나 연우 저금통을 깨서 연우아빠에게 선물한 건 아니고요! 어차피 연우아빠가 쓰고 남은 돈은 연우에게 고스란히 가게 되어 있으니...연우가 연우아빠한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