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정보

Ambush is the Wrong Word

신승엽(다라이더) 2070

0

5
어제 읽었던 내용인데 그동안 제가 알고 있었던 내용과는 좀 다른 내용이 있어서 올립니다. 요즘 저작권 문제 때문에 복잡한것 같으니 퍼가시는건 자제해 주시면 합니다. 저도 허락없이 그냥 퍼왔으니까요,,,

원저자는 In-fishierman 이라는 미국에서는 꽤 유명한 잡지에 항상 기고를 하는 꽤 권위있는 사람입니다. 스쿠버 다이빙을 통해서 배스의 활동에 관한 연구를 많이 한 사람입니다.


Ambush is the Wrong Word

by Ralph Manns

This article was previously published in Honey Hole Magazine. This is copyrighted material and may not be republished without permission of the author, Ralph Manns

Ambush is the Wrong Word (저작권에 대해서 써 놨습니다)



When bass feed actively, they move. Underwater observers, scientific experimenters, and electronic trackers all report the same things: black bass hold inside cover when they are inactive and resting. When they are actively feeding, they move outside thick cover and usually travela long edges.

배스가 먹이 활동을 할때는 움직인다. 수중에서 관찰을 하는 사람, 과학 실험 그리고 전자추적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들 모두 같은 결과를 보고한다. "블랙배스는 비활성적이고 휴식기에는 커버 안쪽에 위치하고 왕성한 먹이 활동을 할때는 커버 바깥쪽으로 나와 주로 가장자리를 이용해 이동한다.


The slim, muscular, and streamlined shape of bass is best suited to make short dashes after prey fish. It is less well designed to ambush prey by lying hidden and camouflaged inside cover. Fish that routinely feed by ambush usually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in common. They arebulky, camouflaged, sit on the bottom, and move only inches when theys trike. Moreover, ambush feeders normally have big mouths and heads and relatively small bodies and few muscles because they move little and often must wait many days between feedings. Sculpin, rockfish, and sole are typical ambush predators.

얇고 근육질이며 유선형의 몸체를 가진 배스는 먹이고기를 따라 근거리를 갑자기 따라잡은데 적합하다. 커버안에서 숨어서 위장,매복하기에는 잘 디자인된 바디라고 할수 없다. 주로 매복으로 먹이 활동을 하는 고기들은 몇가지 공통점이 있다. 주로 뚱뚱한 몸, 위장색을 띈 몸, 바닥에 붙어 있고, 스트라이크 할때는 몇 인치 안되는 짧은 거리를 움직인다. 게다가 매복활동을 주로 하는 스컬핀, 락피쉬, 가재미 종류 고기들은 작은 몸체와 근육에 비교해 아주 큰 입과 머리를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별로 움직임이 없으며 먹이활동 중간 중간 기다려야 하는 기간이 몇일씩 되기 때문이다.


Experiments in which bass were given chances to feed inside and outside of cover show bass that can't leave thick cover are unable to chase prey and are forced to use ambush tactics. These bass catch few prey, grow slowly, and may even starve if prey aren't abundant. Ambush is an inefficient tactic for bass.

커버 안쪽과 바깥쪽으로 구분해서 실험을 했는데 커버안을 떠날수 없는 배스는 먹이고기를 추적하지 못하고 매복을 할수 밖에 없었는데 이런 배스들은 먹이고기 섭취가 작았으면 성장속도도 느리고 먹이고기가 많지 않은 경우는 심지어 굶어 죽는 경우도 있다. 매복이 배스에게는 효과적인 방법은 아니다.


Bass that could leave cover to cruise individually or in small schools along edges of thick cover did so. They startled individual preyfish and scattered prey schools. Prey that darted the wrong way or dashed too near another bass were eaten. Big bass expert Doug Hannon calls this tactic "flushing." The tactic is suited to bass' ability to cruise at slow speed and then to accelerate rapidly to strike vulnerable prey a few feet away.

커버를 떠날수 있는 배스는 단독 또는 작은 그룹으로 커버 가장자리를 유영하고 다닌다. 한두마리의 또는 흩어져 있는 먹이고기 무리를 깜짝 놀라게 해서 엉뚱한 방향이나 다른 배스에게 너무 가깝게 튀는 먹이고기들을 잡아 먹는다.  대물배스 전문가인 Doug Hannon 은 이런걸 보고 "Flushing" 이라고 한다. 이런 작전이 천천히 유영하고 다니다가 몇 피트 떨어져 있는 먹이고기를 향해 갑자기 속도를 붙여 헤엄쳐서 스트라이크를 할수 있는 배스의 능력에 맞는다.
(Flushing 은 양변기에 물이 쏴악 내려가는 걸 연상하시면 됩니다)


When prey aren't overabundant, cruising bass encounter and have chances to catch many more prey than ambushing bass. Studies show bass feeding along the edges of thick cover catch enough food to grow and remain healthy.

먹이고기들의 양이 과도하게 많지 않을 경우에는 매복하는 배스보다 유영다니며 먹이고기를 잡아먹는 배스가 더 많이 먹을수 있다. 이렇게 커버 가장자리를 이용해 먹이사냥을 하는 배스가 충분한 먹이섭취를 하고 건강하게 자란다는 연구를 보여준다.


Scuba divers, myself included, have watched bass that were immobile inside cover and apparently asleep. These fish didn't feed, even though edible-size prey were within inches of their mouths. These inactive bass refused lures presented within inches of their noses and were almost impossible to catch -- unless something aroused them from their torpor before the lure passed by. Electronic trackers frequently report bass that hold for long periods in the same place are uncatchable.

나와 같은 스쿠버 다이빙을 하는 사람들은 커버안쪽에서 잠을 자며 꼼짝을 않는 배스를 본 경험이 있다. 먹기좋은 사이즈의 먹이고기들이 바로 코앞에 있지만 먹이활동을 않는다. 이런 배스들은 바로 코앞에 있는 루어들에게 반응을 않했고 루어가 앞에 가기전에 무슨 변화가 있어서 잠에서 깨기 전에는 거의 잡기가 불가능했다. (사훅님은 이런 경우를 스위치를 켠다고 표현하더군요,,,이런 스위치에 대해서는 또 다른 기고가 있으니 차후에 올리겠습니다) 전자추적 장치를 이용한 사람들도 한자리에서 오랫동안 꼼짝을 않는 배스는 잡기가 힘들다는 보고를 한다.


In contrast, bass that held near the edges of cover and moved back and forth were occasionally tempted by a lure that was placed nearby. They were also more easily aroused to active status by repeated casting. These bass were neutral or semi-active.

이와 대조적으로,,,,커버 가장자리에 위치하면서 왔다리 갔다리 하는 배스들은 근처에 떨어지는 루어에 가끔 유혹을 받기도 했다. 이 배스들은 또한 반복되는 루어의 캐스팅에 의해 좀 더 쉽게  활성적으로 바뀌기도 했다.(스위치가 들어갔다는 얘기죠). 이런 배스들은 중립적 또는 반활성적이였다.


Neutral bass tended to hold near other bass, but didn't synchronize their movements or hold close together. Scientists call such groups "aggregations" rather than schools.

중립적인 배스는 다른 배스 근처에 머무르지만 너무 가깝게 있지 않고 움직임들이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무리"라고 부르지 않고 "집합"이라 부른다 (차이점은 모르겠습니다.)


Preyfish often hovered nearby, but stayed at least 3 feet away and remained wary. Neutral bass will strike prey that blunder too close. Electronic trackers often  find only precisely placed casts interest such fish.

먹이고기들이 주변에 있지만 적어도 3피트 이상 떨어져 있으며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 중립적 배스는 실수로 너무 가까이 오는 먹이고기는 스트라이크 한다. 전자추적 장치를 쓰는 사람들이 보기에는 정확하게 캐스팅된 루어만이 이런 중립적 배스에게 흥미를 유발한다고 한다.



When bass wanted to feed actively they formed schools with bass of similar sizes and swam off together. They cruised fairly rapidly along edges of cover (into open water if there are many bass and shad are abundant) to flush prey. These were active, catchable fish if anglers could locate them, predict their direction of movement, and put a lure in front of them.

왕성한 먹이 활동은 하는 배스들은 비슷한 사이즈들이 모여 무리를 이루어 헤엄쳤다.  꽤 빠른 속도로 커버 가장자리를 따라 먹이고기를 "flush" 하기 위해 유영을 했다 (배스 개체수도 많고 쉐드란 먹이고기가 많을 때는 오픈워터로 움직였다) 이런 배스들은 만약 어디로 이동하는지,,위치 등을 알고 그 앞에 루어를 프레젠테이션 할 수 있다면 잡을 수 있는 활성도가 좋은 배스들이다.



Nearby preyfish knew when bass were preparing to feed and immediately moved well out of range. The bass moved away looking for prey that hadn't seen them coming.

근처에 있던 먹이고기 들은 배스들이 먹이활동 준비를 하는 걸 알았고 즉시 범위 밖으로 움직였다  배스들은 눈치채지 못한 먹이고기를 찾아 떠났다.



The idea that bass feed by ambushing prey apparently resulted from some false observations and assumptions. Bass are inactive or neutral most of the time. While inactive, they frequently rest inside thick cover. If they aren't digesting food, too sleepy, and totally immobile; lures flipped right on their noses may be taken. They also may wake up if aroused by repeated casts.

배스가 매복으로 먹이활동은 한다는 아이디어는 잘못된 관찰과 추측에 의한 결과물이다. 배스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중립적 또는 비활성적이며 커버 안에서 휴식한다. 이때 배스가 먹이를 소화시키고 있지 않거나, 잠을 자거나 완전하게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아니라면 코앞에 떨어진 루어를 취할것이다. 또한 반복된 캐스팅에 의해 잠에서 깬다.


Thus many bass are caught in cover where ambush is the most likely tactic. Moreover, moving bass still may stop periodically at places where cover or structure stops, starts, bends, or changes. Bass taken at these locations may seem to ambush lures or prey, even though the bass aren't actually hiding there.

이렇게 해서 커버에서 배스가 잡히고 매복이 적당한 작전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게다가 움직이던 배스도 커버나 스트럭쳐가 끝나거나 새로 시작되거나 꺽어지거나 바뀌는 지점에서 정지한다. 이런 지점에서 잡힌 배스도 우리가 보기에는 매복하던 배스로 보여진다.




Bass usually don't move only one way. Lunkers monitored by Texas tracker, John Hope, move almost constantly when active, but they patrol to-and-fro along the edges of cover or breaklines.

배스는 한쪽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존 호프라는 텍사스 전자추적을 하는 사람이 모니터 하기에는,,,,"배스가 활성적일때는 계속 움직인다. 하지만 커버 가장자리나 브레이크 라인을 따라 왔다 갔다 한다"


Anglers who "hole-sit" on edges, bends, and points of weed beds or other cover during feeding periods may encounter several schools of passing bass or contact the same school several times as it passes back and forth.

먹이활동 기간에 엣지, 꺽어지는 곳, 수초 곳부리 혹은 다른 커버같은 스팟에서 지짐이 낚시를 하는 사람은 여기를 왔다 갔다 하는 여러무리의 배스 혹은 같은 무리의 배스를 몇번이고 만날지 모르다.


This can create an illusion that the feeding bass aren't moving. Active bass also move along cover edges anglers can't see. Fairly open pathways often exist under thick weeds and seemingly impenetrable brush. Fish that are apparently caught "inside" such cover may be moving along relatively open edges.

이런 낚시를 하는 사람은 피딩하는 배스가 움직이지 않는다는 생각을 잘못 할수도 있다. 또한 보이지 않는 그런 커버에지를 따라 배스가 움직일수도 있다. 아주 ㅃㅐㄲ빽한 수초 아래나 커버 아래에 뻥 뚤린 통로가 있을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런 빽빽한 커버 안에서 잡힌 배스이지만 상대적으로 오픈된 그런 엣지를 따라 움직이고 있을수도 있다.


It's hard for anglers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a bass that was caught while holding under a bush to "ambush" prey and another that was moving back and forth at the same depth from bush to bush.

우리가 잡은 배스가 이런 커버속에서 매복을 하고 있었던지 아니면 같은 수심에서 이쪽 잔가지 무더기에서 다른 잔가지 무더기로 움직이고 있었던지 판별하기가 어렵다.


Truly inactive bass tend to sleep alone. When bassers take several fish during consecutive passes by the same bush, they likely have found a spot that fish are moving by or through rather than resting fish. Inactive fish seldom school, don't strike readily, and don't move about rapidly enough to quickly replace bass that were caught moments before.

아주 비활성인 배스는 따로 혼자 잠을 자는 경향이 있다. 한 잔가지 무더기 스팟을 왔다갔다 하며 몇마리의 배스를 잡았다면 거기에서 휴식하던 배스를 잡았다기 보다는 거기를 지나가던 배스를 잡았을 경우가 높다. 왜냐하면 비활성적인 배스는 무리를 짓지 않고 잡혀나간 빈자리로 그렇게 빨리 이동을 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The belief that bass "ambush" their prey apparently worked its way into bassing lore because many outdoor writers prefer to use aggressive, action-packed words. The image of a bass hiding behind a rock to "ambush" unsuspecting prey makes bass seem vicious, like a western movie "backshooter," and therefore a more worthy opponent.

이런 매복이라는 개념은 낚시 기사를 쓰는 사람들이 좀더 공격적이고 활동적인 단어 선정을 위해 생겨났다. 서부영화에 나타나는 악당처럼,,,바위뒤에 숨어서 의심없이 지나가는 먹이고기를 공격하는 그런 악당배스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생겨났다.



"Chasing" or "flushing" tactics just don't make bass seem as tough and exciting. But "ambush" is the wrong word to describe how bass usually feed. Bass ambush if opportunity presents itself, but this is not their preferred feeding tactic.

추적이나 "flushing" 이란 작전은 배스를 터프하거나 흥미있게 보여지게 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매복은 주로 배스가 먹이를 취하는 방법은 아니다. 기회가 있다면 매복을 하겠지만 배스가 좋아하는 그런 먹이를 취하는 방법은 아니다.


To catch more bass, anglers must know how bass really behave. Actively feeding bass usually move in small groups. They usually don't hide inside cover thick enough to block their vision and/or hinder attacks.

더 많은 배스를 잡기 위해서 앵글러는 배스의 움직임을 알아야 한다. 왕성하게 먹이활동을 하는 배스는 작은 무리로 움직이며 시야를 가리고 공격경로를 막는 그런 커버안에 숨어 있지는 않는다

Cover is cover for prey. Prey hide in it to escape bass. Bass use cover for the same reason. They move into it to rest undisturbed by larger threats like yellow cats and anglers, rather than to feed.

커버는 먹이고기를 위한 커버이다. 먹이고기는 배스를 피하기 위해 커버에 숨는다. 배스 또한 같은 이유로 커버를 이용한다. 앵글러나 노란 메기 같은 위험에서 방해받지 않고 휴식을 하기 위해 커버안으로 움직인다.


Bass are most often caught along the edges of cover because prey gather there and are more easily flushed there. To feed effectively and often, bass move out of thick cover to seek, startle, or flush prey along the cover edges.

배스가 제일 자주 잡히는 곳은 커버 가장자리이며 이유는 먹이고기가 거기에 있고 좀 더 쉽게 "Flush"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좀 더 효과적으로 그리고 자주 먹기 위해서 배스는 두터운 커버 밖으로 나와 커버 가장자리에서 먹이고기를 찾고 놀라게 하고 Flush 한다.


"Flush" 라는 개념을 이해를 하면 왜 스트럭쳐를 배스들이 이용하는지를 좀 더 쉽게 알 수가 있습니다.,,,일례로 직벽 같은 경우입니다.,,,
신고공유스크랩
5
profile image
Honey hole magazine이 폐간 되엇더군요.
가끔식 들려서 글보곤 했는데....

배스는 가장자리--Edge다!!! 란 말로 요약될듯...
07.07.13. 15:10
이강수(도도)
찬찬히 읽어 보면서 동감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요즘 커버 지형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탓이겠지요.
좋은 자료 감사하게 읽었습니다 [꽃]
07.07.13. 20:29
profile imag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꽃]
숨어 있는 녀석보단 왔다리 갔다리 하는 녀석들이 많군요
그리고 가장자리에서 히트가 잘되는 이유 역시군요
edge를 노려라!!!
생각하면서 하는 배스낚시 정말 재미있습니다.[굳]
07.07.15. 07:49

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 로그인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삭제

"Ambush is the Wrong Word"

이 게시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 와이어에 스커트 묶기
    미노우 뒤쪽이나 인라인스피너형태로 만들때를 대비해서 스커트 이쁘게 묶는 방법을 한번 올려봅니다. mk님의 요청도 있으셨구요. 일단 스텐강선은 0.8미리로 준비했습니다. 1. 스플릿링을 걸고 바늘을 달수있도록 오...
  • [메탈배스] 석가탄신일 밤 출조!!!
    안녕하세요...메탈배스입니다... 통 낚시를 다닐 시간이 없었는데...간만에 새벽출조 다녀왔습니다...조행기를 이곳에도 남겨봅니다... 석가탄신일에는 비가 많이 내린다고 해서 예정되었던 보팅은 취소하고 전날 밤...
  • 5/24 초동지 방생 놀이
    망치님이 쓰신 글에서 사진 빌어 왔습니다. 23일 '비가 온다는데 어쩌지?' 하는 고민에 잠이 오질 않습니다. wow라는 게임을 조금하면서 고민하다 동생과 합의하에 밤새고 새벽에 출발하기로 합니다. 원래는 낙동강권...
  • 청도천 대물 붕어(?)조행 다녀왓습니다....
    집뒷뜰에 석류꽃이 예쁘게 피었네요..[꽃] 부처님 오신날이라고 하루 쉬었습니다.[사악] 최원장님은 근무하셨겠지만 저는 빨간색 휴일은 다 휴무합니다. 밤새 아빠옆에서 뒤척이면서 괴롭히는 잠버릇의 둘째녀석때문...
  • 석가탄신일 새벽에 골드웜님께서 추소리에 답사차 오셨습니다. 아침에 부지런히 간다고 했는데도 해는 중천에 떳네요. 골드웜님을 처음 뵙고 참 반가웠습니다. 골드웜님께서 저와 미래 +1님께 선물을 주셨습니다. 아...
  • ...와인터널...
    정보나도배서 조회 150407.05.25.09:59
    07.05.25.
    모처럼 가족이 한 자리에 있는 공휴일이네요. 큰애인 이슬이가 중학생이 되고 부터는 토요일과 일요일도 학교..학원에 가는일이 잦아서.. 예전처럼 토요일과 일요일에 가까운 곳으로 나들이가기가 쉽지 않네요. 오늘...
  • 프롭베이트 마수걸이하다~(옥계교 05/23)
    안녕하십니까 초보조사 사발우성입니다. 간만에 옥계다리에서의 조황입니다[헤헤] 수요일 치과치료때문에 일찍 일을 마치고 아카시아님이 기다리시는 구옥계교로 향합니다. 도착하니 아카시아님은 어린 가물치 를 한...
  • 5/24 신갈
    난닝구 조회 151207.05.25.08:46
    07.05.25.
    시간 06:30~08:00 오늘도 휴일!! 새벽에 일어나 신갈로 향합니다. 오늘은 튜브웜 훌라그럽 센코에 좋은 입질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하늘에서 비를 조금 뿌리더니 연안에 기름찌꺼기 같은 부유물이 잔득 붙기 시작...
  • 순금이의 조행 #10 안동도보
    안녕하십니까... 순금미노우입니다...[꾸벅] 석가탄신일 새벽 불공은 드리지 못하고 미소년낚시인님과 접선하여 배스 방생하러 안동도보 갔습니다... 안동 주진교 위 할매집 포인트... 여기가 주차 및 도보하기가 제...
  • 지난 주말 5월 20일 보은 삼가저수지. 5월 24일 금화지에서 첫보팅은 시원했습니다. * 雲門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7-05-25 11:46)
  • 안동호 - 쪽박조행기
    ||0||0안동호에서 만난 미소년낚시인님과 순금미노우님 입니다. 골드웜티가 눈에 확 띄더군요. 순금미노우님 입니다. 잘 찍어 보려고 하였는데 확실히 렌즈가 눈을 못따라 가네요. [테이블시작1] 2007/5/24(음4/8), 0...
  • 탑정저수지 조행기
    Gun 조회 175807.05.24.20:21
    07.05.24.
    Gun입니다. 11시 탑정저수지 신풍매운탕 앞 배터 도착~ 도착하자마자 43, 40...물밑 수초에서 가뿐히..랜딩 성공~ 12시 넘자마자..터지는 바람.. 같이출조한 조우가..스피닝 채비라..바람을 등질수 있는 에땅포인트로...
  • 골드웜님 텃밭 조행기도 올라오고 저원님과 주로 낚시하던 곳이 신동지라 보트를 빌려 5시에 도착한 신동지 입니다. 오후부터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에 찜찜하게 출발 했지만 오전 하늘은 나쁘지 않네요 상류에서 보트...
  • 저번에 말씀드린 청도쪽 새로찾은 보리밭 으로갑니다 청도 칠엽지 이며 오늘은 노싱커 채비와 스틱베이트 종류로 공략해보려합니다 아침일찍 나서봅니다 조금더 일찍 일어난 자가 가지는 한가로움 입니다 [씨익] 저번...
  • 대청호 추소리 답사
    * 배스라이프 블루버드님의 글 참고 : http://www.basslife.com/bbs/view.php?id=info&no=973 * 만년헤딩님의 이정표 사진안내 : http://goldworm.zoa.to/bbs/view.php?id=gf&no=8912 여태 단 한번도 가보지 않았던 ...
  • 안동 다녀 왔습니다.
    회원여러분 안녕들 하시지요 집에만 있자니 답답하든차 아버님 산소에도 가볼겸 청송 주왕산에도 한번가보고 당신은 안동땜 안동땜 하시는데 안동땜에 한번가서 낚시를 해보면 어떻겠느냐는 마누라의 의견에 힘입어 2...
  • 안녕하십니까? 두루마리입니다. 오늘도 저는 잠깐의 짬낚시를 변함없이 명계지로 댕겨왔습니다.(명계지가 전좋아요)[씨익] 신나게 달렸습니다. 그런데 도착하는 순간한숨이.. 그 많던 물이 반밖에 없어요[뜨아] 배스...
  • 안녕하세요~ 히든카드 김진호입니다.[꾸벅] 친구인 나그네가 낚시가고싶다며 꼬셔서 넘어갔습니다. 나그네녀석 6개월만에가는 낚시라서 잘 나오는 곳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원래는 안동에서 토,일 이틀간 낚시하려고 ...
  • 점심 짬낚시
    물괭이 조회 194107.05.23.13:25
    07.05.23.
    점심도 안먹고 15분 거리에 있는 검단 수로로 쪼르르 나아가 보았습니다. 새로 장만한 베이트 장비 캐스팅 연습이나 하자는 생각으로 3/8 지그를 달고 멀리 멀리 던져 봅니다. 2타 1방 밑걸림과 배고픔으로 철수를 하...
  • 순금이의 조행 #9 백곡지3
    안녕하십니까... 순금미노우입니다...[꾸벅] 오늘도 여전히 백곡지로...[사악] 일단 오늘 최대어 셀카부터 한장갑니다...위에사진... 오늘 야간 마치고 스피너님, BornBass님, 회사형, 회사동료 요렇게 5명이서 라면 ...